•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나라 소비자의 소비자역량* 수준은 다방면에 걸친 정책적 노력의 결과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타 부문에 비해 △정보이해·활용 및 △소비자권리주장 역량이 낮고, 연령, 소득, 교육수준, 소비자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소비자역량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역량이란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소비자가 갖추어야 하는 소비자능력의 총체를 의미하며, 소비자역량지수는 소비자재무역량, 소비자거래역량, 소비자시민역량 등 3개 대영역 역량에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것

◎ 한국의 소비자역량 꾸준히 향상, ‘14년 대비 1.5점 상승한 65.5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우리나라 성인의 소비자역량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목적에서 ’10년과 ’14년에 이어 세 번째로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 조사를 실시했다.

2018 소비자역량지수는 평균 65.5점(100점 만점)으로, ’14년 제2차 조사 대비 1.5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10년 61.5점→’14년 64.0점→’18년 65.5점).

소비자역량지수 대영역 부문별로는, 소비자재무역량(65.7점) 및 소비자거래역량(66.0점)은 ’14년 대비 상승하는 추세(각 2.7점↑)인 반면, 소비자시민역량은 ’14년 대비 소폭 하락(1.4점↓)한 64.4점으로, 3개 대영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이해·활용 및 소비자권리주장 부문의 역량 낮아 소비자교육 강화 필요

소비자역량지수 중영역 부문별로는 ’14년 대비 모든 부문의 소비자역량이 고르게 향상된 반면, △권리주장역량만 3.3점 하락했다. 세부적으로는 소비자거래역량의 △사용 및 분쟁해결(70.1점), △구매의사결정(66.9점) 역량은 타부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소비자거래역량의 △정보이해·활용(62.5점), 소비자시민역량의 △소비자권리주장(62.9점)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장의 급속한 변화로 인하여 발생한 소비자정보 격차의 해소를 위해 소비자들의 △정보이해·활용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소비자권리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60세 이상 고령층, 월소득 150만원 미만 저소득층의 소비자역량 개선 시급

집단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 월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고졸 이하 소비자역량지수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40대 소비자역량지수가 68.4점으로 가장 높고, 60세 이상 고령층이 60.4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 소비자 집단의 경우 모든 부문의 소비자역량지수가 낮으며, 특히 △소비자거래역량은 58.5점으로 평균보다 무려 7.5점이 낮아 60세 이상 고령소비자층의 거래역량 개선이 시급한 과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20대의 △소비자재무역량(62.5점)이 오히려 60세 이상 고령층(63.4점)보다도 낮아 20대 소비자의 재무역량 개선도 추진될 필요가 있다.

소득 수준별로는 월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소비자역량지수가 59.6점으로 가장 낮고, 월소득 300만원 이상 집단의 소비자역량지수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자역량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졸 이상의 소비자역량(67.7점)이 고졸 이하 집단(62.9점)보다 4.8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 향상에 기여

소비자교육 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소비자역량지수를 비교한 결과, 지난 3년간 소비자교육을 경험한 집단의 표본수가 적기는 하나 이들의 소비자역량지수(75.4점)가 소비자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65.3점) 보다 10점 정도 높아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소비자역량지수 산출 결과를 소비자정책 수립과정에서 목표 정책대상 도출 및 정책 수립에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향후 소비자역량지수를 활용한 정책 세미나 개최 등 유관 부처와의 소통·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10-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15 샴푸의 세정성능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9 44
6214 서로 존중하는 건강한 직장문화 확산 직장 내 괴롭힘 상담센터가 함께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7 13
6213 서민 맞춤형 대출상품과 일자리를 상담해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0 33
6212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방안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7 81
6211 서민,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원스탑 서민금융 종합 상담 체계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40
6210 서민·중소기업, 여신금융회사 제출서류 대폭 간소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8 46
6209 서민·청년층을 속이는 「주택·중고차 미끼용 가짜매물 특별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0
6208 서민들의 고금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법정 최고금리를 20%로 인하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3 37
6207 서민들의 고금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법정 최고금리를 인하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9
6206 서민에게 적합한 대출상품과 일자리를 상담해 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68
6205 서민우대 자동차보험에 가입하여 할인혜택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6 154
6204 서민을 울리는 유사수신 금융범죄 집중단속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72
6203 서민을 착취하는 미등록 대부업체 수사의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7 83
6202 서민의 금융부담을 경감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4 70
6201 서민주거안정과 주거비 완화 촉구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4 54
Board Pagination Prev 1 ...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