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나라 소비자의 소비자역량* 수준은 다방면에 걸친 정책적 노력의 결과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타 부문에 비해 △정보이해·활용 및 △소비자권리주장 역량이 낮고, 연령, 소득, 교육수준, 소비자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소비자역량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역량이란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소비자가 갖추어야 하는 소비자능력의 총체를 의미하며, 소비자역량지수는 소비자재무역량, 소비자거래역량, 소비자시민역량 등 3개 대영역 역량에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것

◎ 한국의 소비자역량 꾸준히 향상, ‘14년 대비 1.5점 상승한 65.5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우리나라 성인의 소비자역량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목적에서 ’10년과 ’14년에 이어 세 번째로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 조사를 실시했다.

2018 소비자역량지수는 평균 65.5점(100점 만점)으로, ’14년 제2차 조사 대비 1.5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10년 61.5점→’14년 64.0점→’18년 65.5점).

소비자역량지수 대영역 부문별로는, 소비자재무역량(65.7점) 및 소비자거래역량(66.0점)은 ’14년 대비 상승하는 추세(각 2.7점↑)인 반면, 소비자시민역량은 ’14년 대비 소폭 하락(1.4점↓)한 64.4점으로, 3개 대영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이해·활용 및 소비자권리주장 부문의 역량 낮아 소비자교육 강화 필요

소비자역량지수 중영역 부문별로는 ’14년 대비 모든 부문의 소비자역량이 고르게 향상된 반면, △권리주장역량만 3.3점 하락했다. 세부적으로는 소비자거래역량의 △사용 및 분쟁해결(70.1점), △구매의사결정(66.9점) 역량은 타부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소비자거래역량의 △정보이해·활용(62.5점), 소비자시민역량의 △소비자권리주장(62.9점)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장의 급속한 변화로 인하여 발생한 소비자정보 격차의 해소를 위해 소비자들의 △정보이해·활용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소비자권리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60세 이상 고령층, 월소득 150만원 미만 저소득층의 소비자역량 개선 시급

집단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층, 월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고졸 이하 소비자역량지수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40대 소비자역량지수가 68.4점으로 가장 높고, 60세 이상 고령층이 60.4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 소비자 집단의 경우 모든 부문의 소비자역량지수가 낮으며, 특히 △소비자거래역량은 58.5점으로 평균보다 무려 7.5점이 낮아 60세 이상 고령소비자층의 거래역량 개선이 시급한 과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20대의 △소비자재무역량(62.5점)이 오히려 60세 이상 고령층(63.4점)보다도 낮아 20대 소비자의 재무역량 개선도 추진될 필요가 있다.

소득 수준별로는 월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소비자역량지수가 59.6점으로 가장 낮고, 월소득 300만원 이상 집단의 소비자역량지수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자역량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졸 이상의 소비자역량(67.7점)이 고졸 이하 집단(62.9점)보다 4.8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 향상에 기여

소비자교육 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소비자역량지수를 비교한 결과, 지난 3년간 소비자교육을 경험한 집단의 표본수가 적기는 하나 이들의 소비자역량지수(75.4점)가 소비자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65.3점) 보다 10점 정도 높아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역량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소비자역량지수 산출 결과를 소비자정책 수립과정에서 목표 정책대상 도출 및 정책 수립에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향후 소비자역량지수를 활용한 정책 세미나 개최 등 유관 부처와의 소통·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10-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14 6일부터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납부기한 3개월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06 8
12013 6일부터 화물차·건설기계 과태료 납부기한 3개월 추가 유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05 11
12012 7.1.부터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시스템 정식 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1 10
12011 7.11일부터 코로나19 생활지원 및 치료비 지원 제도 개편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12010 7.1일부터 고위험 임산부의 입원진료비 부담이 줄어듭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1 97
12009 7.1일부터 상급종합·종합병원 2·3인실 보험적용 입원료 부담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1 44
12008 7.1일부터 전력기금 부담금단계적△1%p, 출국납부금△3천원, 여권발급 부담금△3천원 인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19
12007 7.1일부터 정신질환자 응급·행정입원 등 치료비 지원 대상 확대로 치료 부담 경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02 10
12006 7.1일부터 제4세대 실손의료보험이 출시됩니다.- 국민건강보험을 보완하는 사적(私的) 사회안전망 역할을 지속 수행할 수 있도록 상품구조를 전면 개편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30 12
12005 7.28일부터 AI 위기경보 ‘심각’에서 ‘주의’ 단계로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28 40
12004 7.29.(수) 부터 미신고 어린이통학버스 처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83
12003 700여개 공공기관 데이터를 쉽게 찾고 신청까지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11
12002 722개 공간정보 사업에 3,133억 투자 “일자리 창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46
12001 750만 업종․업소 정보, 언제든 쉽게 볼 수 있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21
12000 75세 이상 고령운전자 면허갱신 기간 단축 및 교육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2 46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