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밝은색 계열의 옷과 등산화, 각반(스패치) 착용으로 빈틈을 최소화 하는 것이 예방에 효과적

▷ 땅벌집을 건드렸을 때에는 절대 자리에 주저앉으면 안되며, 최대한 빠르게 20m 이상 벗어나야


땅벌의 공격성이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파고들어 말벌 못지않은 공격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흰색 등 밝은색 계열의 옷과 등산화, 각반(스패치) 착용으로 땅벌이 파고드는 틈새를 최소화 하는 것이 땅벌 공격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땅벌의 공격성을 최근 실험한 결과, 땅벌이 검은색에 공격적이고 사람의 다리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며, 공격대상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성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6년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털보말벌과 외래종 등검은말벌, 2017년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장수말벌의 실험에 이어 올해 9월에는 땅벌을 대상으로 공격 색상, 거리, 공격 부위 등 공격성향을 실험했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땅벌은 벌목 말벌과에 속한 곤충으로,  땅벌(Vespula flaviceps), 참땅벌(Vespula koreensis koreensis) 등 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실험에서는 참땅벌 종을 대상으로 했으며, 땅벌집 주변에 검은색, 노란색, 초록색, 흰색 등의 털뭉치로 진동 등의 자극을 주어 공격성향을 관찰했다.   

실험 결과, 땅벌은 장수말벌처럼 검은색과 짙은 갈색에 강한 공격성향을 보였고, 흰색에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벌이 검은색이나 갈색 등 어두운 색깔에 공격성이 강한 이유는 다른 말벌들처럼 천적인 곰, 오소리, 담비 등의 색상이 검은색 또는 짙은 갈색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제초작업을 할 때는 흰색 작업복과 등산화 및 각반을 착용하는 것이 땅벌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땅벌집 입구는 낙엽, 수풀 등에 가려져 눈에 쉽게 띄지 않은데다 약 10~20cm 깊이의 땅속에 있다.

땅벌집 주변에 사람의 발자국 등으로 진동이 발생되면 땅벌 수십 마리가 벌집 밖으로 나와 무릎 아래의 다리부분을 집중적으로 공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에서는 땅벌집에서 20m 이상 벗어났을 경우 대부분의 땅벌이 집으로 되돌아갔으나 3~4마리는 공격 대상에 붙어 집요하게 속으로 파고들었다.

이 같은 반응을 볼 때 가을철 밤이나 도토리를 줍기 위해 탐방로를 벗어나 낙엽으로 덮여있는 숲 속에서 머리를 숙이거나 막대기로 땅속의 벌집을 건드리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다.

정종철 국립공원연구원 조사연구부 팀장은 "땅속에 집을 짓는 말벌류는 땅벌과 장수말벌 등이 있는데, 장수말벌의 경우 입구에 흙을 파낸 흔적이 있어 어느 정도 벌집 입구를 예상할 수 있으나, 땅벌은 1~2cm 정도로 크기가 작고 입구의 흔적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은데다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수십마리가 집단으로 공격한다"라며, "땅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절대 자리에 주저앉지 말고 그 자리를 20m 이상 빠르게 벗어난 후 배낭이나 옷 속을 파고든 나머지 땅벌을 제거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나공주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국립공원 내 야영장 및 탐방로의 휴식 장소 등에서 야외활동을 하기 전에 말벌류가 있는지 세심히 살펴야 한다"라면서, "벌집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말고 국립공원 사무소에 바로 알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10-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53 시안화수소산 방출 위험 있는 dm 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8
1952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착색료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27
1951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 표백제 및 발색제 사용 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2.01
1950 시중 유통 도시락, 햄버거 등 즉석섭취식품 벤조피렌 안전한 수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8.01.17
1949 시중 유통 의료기기의 안전관리가 강화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8.18
1948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7.12.19
1947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5.29
1946 식약처, 끓인 음식도 식중독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3.29
1945 식약처, 냉이·쑥 등 봄나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2
1944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보건용 마스크 구입 및 사용 정보 제공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56 2015.12.24
1943 식약처, 밀수입된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09.26
1942 식약처, 바레니클린 금연치료보조제 사용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07.09
1941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12.20
1940 식약처, 비가열 햄.소시지 등 수거.검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09.05
1939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4.17
1938 식약처,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1.08.09
1937 식약처, 식품 사용 액체질소 안전관리 대책 보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7.08.09
1936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함유 서방형 제제에 대한 안전성 강화 조치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18.04.06
1935 식약처, 유럽산 햄 소시지 반드시 익혀 먹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8.25
1934 식약처, 이엽우피소.백수오 안전성 평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7.08.22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