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10월 2일부터 어린이는 12세(2006년 1월 1일 ∼ 2018년 8월 31일 출생아)까지, 어르신은 만 75세 이상(194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포함 인플루엔자 접종 본격 시작
* 만 65~74세(195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까지는 안전, 편의를 위해 10월 11일부터 분산 접종
◇ 본격사업 첫날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의 서울시 민간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 현장 방문
- 집단생활로 발병, 유행에 취약한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생 연령까지 지원 확대한 첫해로 질병부담 경감 기대, 향후 중‧고생의 단계적 확대 및 합병증에 취약한 임신부까지 지원 확대 노력 지속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이 주로 12월에 시작되고, 접종 2주 후부터 예방효과가 나타나, 약 3∼12개월(평균 6개월) 정도 지속되는 것을 고려하여 11월까지 접종 완료 권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10월 2일(화)부터 어린이는 12세(2006년 1월 1일 ∼ 2018년 8월 31일 출생아)까지, 어르신은 만 75세 이상(1943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부터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만 65~74세 어르신(1953년 이전 출생자)을 포함한 무료접종은 쏠림 최소화 등 접종 안전 및 편의를 위하여 10월 11일(목)부터 구분하여 접종을 시작한다.
- 접종 기간은 11월 15일까지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의료 기관에서, 11월 16일부터는 보건소에서만 접종(보건소 보유 백신 소진 시까지)이 가능하다.
- 다만, 만 65~74세 접종자 중 의료취약지역주민, 당일진료환자, 장애인 등은 접종 편의를 위해 예외적으로 10월 2일부터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 어린이 인플루엔자 대상자 중 9월 11일부터 예방접종을 시작한 2회 접종 대상자*는 1차 접종 후 1개월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완료하여야 한다.
* 2회 접종 대상자: 생후 6개월∼만 8세 이하 어린이 중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처음하거나 이전 접종력을 모르는 경우, 또는 2018년 6월 30일까지 인플루엔자 백신을 총 1회만 접종한 경우

□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이 주로 12월에 시작되고, 접종 2주 후부터 예방효과가 나타나 약 3∼12개월(평균 6개월) 정도 유지되는 것을 고려하여 가능하면 11월까지 가까운 동네 의료기관에서 예방 접종을 완료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주소지에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 총 1만9,749개소(2018년 9월 27일 기준)에서 가능하다. 지정의료기관(보건소 미포함)*은 보건소 및 질병관리본부 콜센터(국번 없이 1339)로 문의하거나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https://nip.cdc.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보건소 및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문의,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접속 > 일반인 (자세히 보기) > 예방접종도우미 연결), 스마트폰 앱에 공지
*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은 3가 백신이고, 4가 백신은 전액 유료접종임

○ 접종대상자는 사업기간을 확인하고, 본인의 건강상태를 잘 알고 있는 단골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하면 된다.

♣ 안전하고 편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해 꼭 지켜주세요 ♣
① 무료접종이 가능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 사전 확인
※ 보건소, 질병관리본부콜센터(국번없이 1339) 문의 또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및 스마트폰 앱에서 확인 가능
② 지정의료기관에 붐비지 않는 시간대로 사전 예약 또는 전화 문의 후 방문

□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실시를 맞아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10월 2일(화) 오후,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와 함께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이루어지는 서울 중구 소재 ‘제일의료재단 제일병원(원장: 서주태)’을 찾아 접종 상황을 점검한다.

○ 현장에서 정은경 본부장은 ‘’올해는 집단생활로 쉽게 발병하고 전파에 취약한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연령까지 563만 명으로 지원을 확대한 첫해로, 이를 통해 아이들과 보호자들의 질병부담을 덜어주고 효과적인 인플루엔자 지역사회 전파 차단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힌다.

○ 또한 “향후 중‧고생의 단계적 지원 확대와 함께 폐렴 등 합병증에 취약한 임신부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본부 2018-10-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5 숨 못쉬는 고통 ‘만성폐쇄성폐질환’, 40세 이상 남성 적색경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63
3544 귀성 27일 오전, 귀경 28일 오후 가장 몰릴 듯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64
3543 현대중공업, 굴삭기 847대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55
3542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103
3541 보험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한 보험사의 알림서비스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61
3540 버팀목 전세대출 이자·보증료 줄어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80
3539 KTX 운임 적정성 분석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5
3538 가맹점에 대한 카드매출대금 지급 차별관행 개선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1
3537 유통기한 경과 첨가물 사용 홍삼음료 제품 회수 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71
3536 설 명절 앞두고 위생불량업소 등 485곳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3
3535 설 명절 직전 계란, 배추.무 등에 대한 수급안정 대책 집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55
3534 설 연휴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54
3533 일본, 인플루엔자 유행에 따른 여행객 주의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57
3532 푸드뱅크에 세제.치약 등 생활용품도 기부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0
3531 전기찜질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