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2018.09.27 16:59

2018 고령자 통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2018 고령자 통계 주요결과 >

1. 인구
○ 2018년 65세 이상 인구는 738만1천명으로 전체 인구 중 14.3%를 차지함
-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은「전남(21.8%)」이 가장 높고,「세종(9.0%)」이 가장 낮음
○ 2018년 노년부양비는 19.6명에서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2060년에는 82.6명으로 증가할 전망임
- 노령화지수는 2016년 100.1명으로 0~14세 인구를 넘어서, 2018년 110.5명으로 나타남

2. 가족
○ 2017년 전체 이혼 건수는 전년에 비해 1.2%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남녀의 이혼 건수는 각각 12.8%, 17.8% 증가함
- 65세 이상 고령자의 재혼 건수는 남자 2,684건, 여자 1,202건으로 전년보다 각각 4.5%,8.4% 증가함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72.4%가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으며, 비동거비율은 증가 추세임
○ 2017년 단독주택에서 거주하는 고령자 가구는 49.6%로 감소 추세이며, 아파트는 38.2%로 증가 추세임

3. 보건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본인의 건강에 대해 37.0%가 건강하다고 평가하며, 3년 전(32.4%)보다 4.6%p 증가함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784.4명임
- 암,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 추세, 폐렴,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음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보험상 진료비는 전체의 39.0%인 27조1,357억원으로 전년보다 10.5% 증가함
- 65세 이상 1인당 진료비는 398만7천원으로 전년(381만1천원)보다 4.6% 증가함

4. 경제활동
○ 2018년 55~79세의 산업별 취업자는「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5.6%로 가장 많고, 직업별 취업자는「단순노무종사자(24.4%)」직종이 가장 많음
○ 2018년 55~79세 고령자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64.1%로 전년(62.6%)보다 1.5%p 증가함
- 취업을 원하는 이유: 생활비 보탬(59.0%) > 일하는 즐거움(33.9%)
- 장래 근로 희망자의 일자리 선택 기준: 일의 양과 시간대(27.6%) > 임금수준(24.2%)> 계속근로 가능성(16.5%)

5. 복지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생활비는「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61.8%로 가장 많으며, 증가 추세임
○ 2018년 55~79세 고령자 중 연금수령자는 45.6%로 전년(44.6%)보다 1.0%p 증가함
-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전년보다 4만원 증가한 57만원임

6. 문화여가 및 사회참여
○ 2017년 65세 이상 고령자 중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비율은 24.2%로 2년(24.5%) 전보다 소폭 감소함
- 고령자는 주중·주말 여가시간에 주로「TV시청」,「휴식활동」을 하면서 보내며, 앞으로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은「관광」임
○ 2017년 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고령자는 42.9%로 2년(40.0%) 전보다 2.9%p 증가함
○ 2017년 고령자는 성취에 대해 18.2%, 개인 인간관계에 대해 37.8%가 만족함
- 성취 및 인간관계에 대해 전체 인구는 각각 24.5%, 50.6%가 만족하여, 고령자가 전체 인구보다 낮은 만족감을 보임



[ 통계청 2018-09-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70 식약처, 유기농.천연 생리대 온라인 광고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4 20
6169 10월 7일부터 정부민원상담안내 국민콜 ☎110 무료로 전화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27
6168 업무특성상 휴게시간에 근무했다면 근로시간으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11
6167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안전상 중대한 하자 있는 전동휠, 제조사가 도산했더라도 판매자가 환급"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7 10
6166 전국 보건소에서 ‘사전연명의료 거부신청’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33
6165 10월 부가가치세 신고, 신고도움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23
6164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및 중소기업 사업주(1인 자영업자 포함) 산재보험 적용 확대방안"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49
6163 공정거래조정원, 가맹사업거래 분쟁 예방 체크리스트 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7
6162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19
6161 유사 욕창예방방석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36
6160 노후 경유차 환경개선부담금 징수제도 보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8 19
6159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상습 미납차량, 전자예금압류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0 20
6158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위탁부모에게 장애인 자동차 표지 발급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0 10
6157 공공서비스혁신 우수사례, 국민 여러분이 직접 심사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0 8
6156 「불법사금융 대응요령 및 상담사례집」발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0 15
Board Pagination Prev 1 ...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