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 6월부터 시행된 국민청원안전검사제일환으로 국내 유통 중인 물휴지(화장품) 147개 제품수거검사한 결과, 다커 브라운모이스처80’ 등 물휴지 14개 제(12개 업체)을 미생물 기준 부적합으로 판매중단하고 회수 조치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청원안전검사제 : 식약처가 생활 속 불안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국민이 불안해하는 식품의약품 등에 청원을 받아 다수가 추천한 제품을 수거검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는 제도

이번 조사는 국민청원 안전검사 심의위원회자문을 받아 영유아용 물휴지 제품을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1호 대상으로 선정해 진행되었습니다.

국민청원 안전검사 심의위원회 : 소비자단체, 언론법조계 및 관련 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되며, 국민 추천에 대한 검사 대상과 시험항목 선정 및 검사 결과의 타당성 등 심의

- 조사 대상은 제조수입업체별 판매 1위 제품과 생산실적 5이상의 제품 147개를 선정하여 중금속, 포름알데히드, 프탈레이, 보존제(CMIT/MIT 포함) 13종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13: , 니켈, 비소, 수은, 안티몬, 카드뮴, 디옥산, 메탄올, 포름알데히드, 프탈레이트류, 미생물, CMIT/MIT 등 보존, 자일렌

조사 결과, 부적합 14개 제품은 일상생활에서 위생 관련 지표인 세균이나 진균 기준을 위반하였으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특정미생물(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133개 제품은 기준에 모두 적합했습니다.

물휴지 미생물한도 기준 : 세균 및 진균수 각각 100/g(mL) 이하, 특정미생물(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불검출

해당 제품을 제조판매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진행할 예정이며, 부적합 제품을 생산한 제조업체 점검 등을 통해 부적합 발생 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 아울러, 이미 회수대상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해당 제품을 판매업체나 구입처에 반품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류영진 식약처장은 이번 사례와 같이 국민청원 안전검사제를 통생활 속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식품의료제품에 대한 촘촘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국민청원 안전검사제를 통한 한층 강화된 안전망이 구축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9-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07 식약처, ‘온라인 자율관리’, 소비자 보호 초석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6 3
8306 식약처,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 중심으로 식품원료 관리체계 전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6
8305 식약처, ‘수입김치 안전.안심 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5 41
8304 식약처, ‘2017년 청소년 약 바르게 알기 지원 사업’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0
8303 식약처, `16년 임상시험 승인 현황 결과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1 49
8302 식약처, WHO 인증지원 통해 백신 글로벌 진출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15 222
8301 식약처, W-18 등 6개 물질 임시마약류 신규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6 75
8300 식약처, RTI-111 임시마약류 신규 지정 및 5-MAPB 등 29개 물질 재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54
8299 식약처, ICH 가입으로 의약품 규제 선진국 수준 입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4 86
8298 식약처, Diclazepam 등 14개 물질 임시마약류 신규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6 87
8297 식약처, 9월 의료제품 허가 현황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06 20
8296 식약처, 3분기 배달음식점 집중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03 23
8295 식약처, 2분기 배달음식점 집중점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25 54
8294 식약처, 2분기 배달음식점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13
8293 식약처, 2019년 식품 등 수입동향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6 22
Board Pagination Prev 1 ...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