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 정보 확인
◇ 해외여행 중 일상생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모기 물리지 않기, 낙타, 조류 등 동물접촉 금지
◇ 해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호흡기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귀가 후 증상발현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석연휴(9월 23일 ~ 9월 26일) 해외로 출국하는 국민들에게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인 만큼,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위하여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국민은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 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해외여행 중 외출 후나 식사 전에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완전히 익혀먹고 안전한 물 섭취하기, 모기 물리지 않기, 여행지에서 조류, 낙타 등 동물접촉 하지 않기, 의료기관 방문 시 마스크 착용

□ 질병관리본부는 우리나라 해외유입 감염병 사례가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내외로 신고되었으며, 매년 증가하여 2018년에는 현재까지 507명으로 전년 동기간(374건) 대비 35.6% 증가하였음을 밝혔다(’18.9.17 기준).

○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과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이 있으며, 중동지역과 중국에서는 각각 메르스 및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특히 추석연휴기간 우리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경우 수인성․식품매개 및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므로 여행자들의 감염병 주의를 강조하였다.

* 2018년 해외유입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사례(’18.9.17 기준) : 세균성 이질(133명), 장티푸스(69명),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12명), 파라티푸스(7명), A형간염(3명), 콜레라(2명)

* 2018년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발생사례(’18.9.17. 기준) : 뎅기열(152명), 말라리아 (32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2명), 치쿤구니야열(3명)

- 열대열 말라리아는 치명률*이 높은 질병으로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고, 여행 후 고열, 오한, 기침, 설사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검사 및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열대열 말라리아는 치료하지 않으면 시망률은 10%이상이고, 치료 시에도 0.4∼4%에 달함

- 지카바이러스는 감염 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어,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국가 및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 게시 중(www.cdc.go.kr→감염병포털(www.cdc.go.kr/npt/)→법정감염병 →지카)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 여행객은 현지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며, 금욕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는 등 예방수칙 준수

○ 특히 메르스는 중동지역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감염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국내 메르스 환자 발생처럼 중동지역 여행을 통해 국내 유입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 메르스 발생현황: ‘12년부터 ’18.6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총 2,229명발생(WHO 기준)하였으며 ‘18.1월 이후 중동지역 메르스 환자 총 116명(사우디 114명, 아랍에미리트 1명, 오만 1명) 발생(’18.9.8 기준)

- 중동지역을 경유․체류하는 여행자들은 여행 중 낙타접촉, 낙타 생고기 및 생낙타유 섭취를 피하고 병원 방문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해외여행을 마치고 입국 시 여행자의 건강과 해외감염병 국내 유입 예방을 위하여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에는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하고 감시기간 내 입국 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미제출 할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은 항공기 · 공항 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음

○ 귀가 후 발열, 호흡기 또는 설사 증상 등 감염병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에는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8-09-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13 Strictly Professional 화장품(Skin pedicure mask), 피부 자극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18.06.21
3812 Studio Fun International 이야기책(It's Hug Times!)에 동봉된 팔찌, 열상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7.12.06
3811 Sudali Toys 병원놀이 완구(Doctor Toy Set), 유해물질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17.12.06
3810 Super Jumper 트램펄린, 낙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9.09.23
3809 SUZUKI KingQuad 750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11 2017.03.06
3808 SUZUKI KingQuad 750 리콜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42 2017.03.02
3807 Swanliss 전동 빗, 감전·화상의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18.03.21
3806 TBHQ 성분 함유된 Natural Life 프로폴리스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0.11.23
3805 TBHQ 성분 함유된 몬델리즈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1.09.13
3804 TC Electronic 기타조율기(Polytune Clip, Polytune Clip Black, Unitune Clip) 단추형 전지관련 주의 경고 표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8.21
3803 TCP LED램프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4 2017.02.07
3802 Theo Chocolate 초콜릿,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6.14
3801 Theo Klein 유아 인형(Princess Coralie),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18.02.07
3800 Tommee Tippee 고무젖꼭지(Closer Nature), 질식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7.12.06
3799 Toothette Oral Care 구강 스프레이(Advance Oral Moisturizer Spray) 일부 생산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26
3798 Tork 거품형 비누, 박테리아 감염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9.01.31
3797 Tower 압력솥, 사용 중 화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3.12
3796 TOYO 방진마스크(No.1725), 안전기준 미달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7.10.31
3795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8.09.07
3794 Traditional Medicinals 허브차(Throat Coat Lemon Echinacea),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5 2018.06.21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