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차량 이동이 많은 추석 연휴시기에 안전운전 및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 당부
    •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13.7%로 낮은 수준(’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 안전벨트 착용했을 때보다 미착용시에 입원율 3.0%p 높아지고, 사망률은 3배
    • 특히, 고속도로 사고의 경우, 안전벨트 미착용시에 입원율은 3.5%p 높아지고, 사망률은 4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석 연휴시기에 교통사고 예방과 사고로부터 피해를 줄이고자 교통법규 준수와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당부했다.

    추석과 같은 명절 연휴나 휴가철 등 차량 이동이 많은 시기에는 그만큼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므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운전자석 및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80% 수준으로 높았으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13.7%이었음

    * 9월 28일부터 차량 탑승자 전원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행 예정(도로교통법 제50조)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참여)의 최근 5년간('13~'17년) 차량사고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8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면접 및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응급실을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5년간 차량사고로 참여의료기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10만 9076명 중에 16.2%(1만 7656명)가 입원하고, 1%(1,111명)가 사망하였다.

    추석, 설 명절연휴*와 휴가기간** 동안에는 1일 평균 67명의 차량사고 환자가 내원하여, 평소의 1일 평균 59명의 차량사고 내원환자보다 더 많았다.

    * 매년 추석과 설 명절 연휴기간 외에 앞 뒤의 1일씩을 포함한 기간으로 함

    ** 매년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를 휴가기간으로 함

    5년간 차량사고 내원환자 전체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57.5%이었으며, 미착용률은 26.5%이었다(16%는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모름).

    안전벨트를 착용한 내원환자와 착용하지 않은 환자의 입원율은 각각 14.5%, 17.5%,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6.9일, 18.2일로 의료비 부담이 더 컸다.

    사망률은 각각 0.5%, 1.4%로 안전벨트 미착용시에 약 3배 높았다.

    특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가 일반도로에서보다 더 위험하다.

    일반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의 경우 입원율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환자(13.7%)보다 착용하지 않은 환자(16.4%)가 2.7%p 더 높았고, 사망률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3배 이상 높았다.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의 경우 입원율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환자(15.8%)보다 착용하지 않은 환자(19.3%)가 3.5%p 더 높았고, 사망률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4배 이상 높았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추석을 맞아 고향에 가는 등 차량 이동시에 운전자석과 조수석뿐만 아니라 착용율이 낮은 뒷좌석 안전벨트도 반드시 착용하고, 더 중요한 것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면서 안전운전을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3 생활 주변 사기범죄, 이런 사례는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9.09.25
    3072 편리한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8.07.13
    3071 테스터 화장품, 위생 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8.01.09
    3070 롯데온, 전자랜드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3.03.02
    3069 한국소비자원 사칭 유사투자자문서비스 피해보상 연락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3.02.27
    3068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9.14
    3067 식중독 위험이 있는 S&W 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7.12
    3066 허용되지 않는 색소 함유한 Make it real 유아 메이크업 장난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6.02
    3065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CNC 레이져 조각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2.01
    3064 '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예방 효과 입증되지 않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1.05
    3063 무선이어폰과 스피커, 화재 위험 있으니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4.07
    3062 Petit Collage 실로폰(WXT-ELEPHANT), 부품 빠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8.04.12
    3061 한국소비자원, 「해외 항공·호텔 예약 가이드」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18.01.10
    3060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3.04.07
    3059 배터리 화재 위험 있는 Hataya 조명기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3.04.03
    305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2.06.08
    3057 여름철 캠핑용품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1.07.20
    3056 고혈압 처방약 성분 함유해 부작용 위험 있는 GAT SPORT 운동보조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0.07.01
    3055 아기 침대 매트리스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0.02.17
    3054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6.21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