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차량 이동이 많은 추석 연휴시기에 안전운전 및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 당부
    •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13.7%로 낮은 수준(’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 안전벨트 착용했을 때보다 미착용시에 입원율 3.0%p 높아지고, 사망률은 3배
    • 특히, 고속도로 사고의 경우, 안전벨트 미착용시에 입원율은 3.5%p 높아지고, 사망률은 4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추석 연휴시기에 교통사고 예방과 사고로부터 피해를 줄이고자 교통법규 준수와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당부했다.

    추석과 같은 명절 연휴나 휴가철 등 차량 이동이 많은 시기에는 그만큼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므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운전자석 및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80% 수준으로 높았으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13.7%이었음

    * 9월 28일부터 차량 탑승자 전원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행 예정(도로교통법 제50조)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참여)의 최근 5년간('13~'17년) 차량사고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8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면접 및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응급실을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5년간 차량사고로 참여의료기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10만 9076명 중에 16.2%(1만 7656명)가 입원하고, 1%(1,111명)가 사망하였다.

    추석, 설 명절연휴*와 휴가기간** 동안에는 1일 평균 67명의 차량사고 환자가 내원하여, 평소의 1일 평균 59명의 차량사고 내원환자보다 더 많았다.

    * 매년 추석과 설 명절 연휴기간 외에 앞 뒤의 1일씩을 포함한 기간으로 함

    ** 매년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를 휴가기간으로 함

    5년간 차량사고 내원환자 전체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57.5%이었으며, 미착용률은 26.5%이었다(16%는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모름).

    안전벨트를 착용한 내원환자와 착용하지 않은 환자의 입원율은 각각 14.5%, 17.5%, 입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6.9일, 18.2일로 의료비 부담이 더 컸다.

    사망률은 각각 0.5%, 1.4%로 안전벨트 미착용시에 약 3배 높았다.

    특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가 일반도로에서보다 더 위험하다.

    일반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의 경우 입원율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환자(13.7%)보다 착용하지 않은 환자(16.4%)가 2.7%p 더 높았고, 사망률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3배 이상 높았다.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차량사고의 경우 입원율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환자(15.8%)보다 착용하지 않은 환자(19.3%)가 3.5%p 더 높았고, 사망률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4배 이상 높았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추석을 맞아 고향에 가는 등 차량 이동시에 운전자석과 조수석뿐만 아니라 착용율이 낮은 뒷좌석 안전벨트도 반드시 착용하고, 더 중요한 것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면서 안전운전을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69 아로마 목욕제품(My Fair Lady Brulee) 먹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5.15
    1868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서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1 2017.12.06
    1867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접경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13
    1866 아미그달린 과다 함유된 Our father’s farm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1865 아연의 분리로 인해 과다 섭취 가능성이 있는 BioCeuticals 아연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4.01.08
    1864 아울렛전자 유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03
    1863 아이들이 뛰어노는 물놀이 분수, 안전하게 즐겨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05.10
    1862 아이폰15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3.10.13
    1861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20.11.12
    1860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1.25
    1859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18.08.03
    1858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1857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안전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9.02.25
    1856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5.15
    1855 아플라톡신 과다 검출된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7.14
    1854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수입 땅콩기름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7.01
    1853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한 한식된장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8.02
    1852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9.08
    1851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1850 아플라톡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Baby Bellies 유아용 과자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11.20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