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중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모든 특수학교에 2018년 2학기부터 자유학기제를 전면 시행(164교)하고, 자유학년제를 확대(00교→48교)한다고 밝혔다.
○ 이는, ’16-’17년 자유학기 운영을 통해 나타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자유학기 확대 요구와 현장 의견 수렴 및 확대.발전 기반을 조성하여 이번 2학기부터 전면 시행 및 확대 운영하게 된 것이다.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통한 현장의 긍정적 변화 】

◇ (학생) 학생 참여형 수업 및 다양한 진로탐색활동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교생활에 긍정적 변화 선도
◇ (학부모)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지원단 활동 및 학교 프로그램 참여 증가로 학부모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신뢰감 및 만족도 향상
◇ (교사) 자발적인 교실 수업 개선 노력으로 수업 효능감 향상
◇ (지역사회)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 제공을 통해 특수학교와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개선의 계기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는 개별 맞춤형 소질?적성 계발로 미래생활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다양한 장애유형 및 특성, 학교의 여건 등을 감안하여 중학교 6학기 중에서 한 학기를 정하여 자유학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학교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특수학교 상황 등을 고려하여 생활기능 영역**과 연계하여 ‘자유학기 활동’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장애의 정도가 매우 심하고, 장애가 두 가지 이상 또는 그 이상 중복해 있는 경우
** 생활기능 영역: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능 및 유용한 의미의 체험에 중점을 두고, 의사소통, 자립생활, 탐구, 신체활동, 여가활동, 진로활동 등 운영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내실화를 위해 자유학기에 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로 구성된 자유학기제 지원단이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 연구학교(13교) 운영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하며, 수업자료 개발*을 통해 교실수업을 지원하고 있다.
* (’17년) 국어.사회, 수학.과학, 안전생활, 경제생활 학생 워크북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
(’18년) 예술.체육, 자립.직업생활 학생 워크북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
○ 교사는 교과와 자유학기 활동(진로탐색, 주제선택, 예술체육, 동아리)을 연계한 학생 활동 참여 중심 수업을 운영하고, 개별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중점을 둔 과정중심 평가를 실시한다.
-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교사 연구회(116개 조직)가 운영되고 있으며, 집합.원격 연수 등에 2,244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적성과 흥미 발견을 통한 미래 진로설계 지원을 위해 양질의 체험활동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 전국 52개 거점특수교육지원센터 지정.운영을 통해 단위학교 진로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진로체험지원전산망 ‘꿈길’을 활성화하여 온라인 매칭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 또한, 관계부처(유관기관)*와 연계.협력을 강화하여 장애맞춤 체험처** 113곳과 체험프로그램 117개를 발굴?안내하였으며,
*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
** 장애인일자리수행기관, 장애인표준사업장, 장애인복지관 등
- 중학교 과정부터 학교 졸업 이후의 직업생활에 대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더불어, 학교간 체험 격차 해소를 위해 특수학교로 찾아가는 진로체험버스*를 확대 운영**하여 학교의 요구에 따른 맞춤 체험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장애특성 및 학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멘토 또는 체험버스가 특수학교로 직접 찾아가 진로체험을 제공하거나 외부체험처를 활용하여 진로체험을 지원
** (’17년) 25교 720명 → (’18년) 50교 1,348명 예정
□ 교육부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고,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특별교부금으로 관련 예산*을 지원하며,
* 학교별 연간 평균 지원액(단위학교 학생 수 등을 고려하여 차등지원): 자유학기 10백만원, 자유학년 15백만원
○ 지역의 특색을 살린 자유학기 학년제의 확대?발전 및 단위학교 지원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시?도교육청 운영비를 확대** 지원하고 있다.
* 단위학교 컨설팅, 수업 및 평가자료 개발, 전문적 교수학습공동체 운영 등
** 교육청별 연간 평균 지원액(특수학교 수 등 고려하여 차등 지원): (’18년) 3천만원 내외 → (’19년) 4천만원 내외 지원 예정
□ ’22년까지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모든 특수학교(139교)에 자유학년제를 연차적으로 확대.운영하고,
○ ‘20년 3월부터 특수학교에 전문 자격을 갖춘 진로전담교사를 배치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설계를 더욱 촘촘하게 지원할 계획이다.
○ 또한, 특수학교 자유학기 학년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지역별 진로체험지원협의체 구성을 확대하여 단위학교 자유학기 운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교육부 정인순 학생지원국장은 “특수학교 자유학기.학년제의 운영 내실화와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하며,
○ “자유학기.학년제를 경험한 장애학생들이 스스로 주인공이 되는 참여 중심 수업과 진로체험을 통해 숨은 재능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교육부 2018-09-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41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6
6340 무(저)해지환급금 보험의 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 대상에 상품설명서를 추가하였습니다. -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8 8
6339 무(無)장애 공원, 장애인 편의성 제고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4 87
6338 몽골 하늘길 활짝, 인천-울란바타르 독점노선 해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6 9
6337 못난이 농산물, 맛·식감 및 가격 만족도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10 30
6336 몸은 멀리 있어도 마음을 모아 추모의 뜻 전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18 9
6335 몸 안에서 녹는 첨단신소재 나사 이식, 현실이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5
6334 몰랐던 재산 알려주는‘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9개 공제회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30 9
6333 몰라서 못 받던 혜택, 정부가 알아서 챙겨준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1 10
6332 목장형 자연치즈, 일부 제품 황색포도상구균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2 21
6331 목욕장 환기 상시 가동, 정기이용권 금지(4단계) 등 목욕장업 방역 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24 15
6330 목돈 마련을 통해 빈곤탈출의 사다리가 되어드립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84
6329 모피의류 털빠짐 등 품질하자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2 168
6328 모집인을 통한 무분별한 금융영업관행 쇄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2 85
6327 모자보건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6 16
Board Pagination Prev 1 ...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