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추석 명절 시 가족, 친지 간 교류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등
◇ 추석 성묘,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 매개감염병(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수칙 준수
- 성묘, 농작업,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구토, 설사, 복통 등 발생 시
신속한 병원 진료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추석 명절 기간 동안 가족, 친지간 교류, 여가 및 단체활동 증가에 따른 물과 식품으로 인한 감염병과 성묘, 농작업 등 야외활동시 진드기 매개감염병 발생 주의를 당부하였다.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명절기간 동안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어 부패될 수 있는 음식 등의 공동섭취 등으로 집단 발생이 우려되므로 예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➁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➂ 물은 끓여 마시기
➃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➄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➅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칼, 도마 조리 후 소독, 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 사용 등

○ 또한, 비브리오패혈증 발생도 지속되고 있어, 간에 질환이 있거나,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해산물 섭취 및 취급에 주의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바닷물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 알코올중독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 가을철(10~11월)은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진드기 매개감염병이 많이 증가 하는 시기로 성묘,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에는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진드기 매개감염병은 성묘 등 풀숲 노출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 고열, 두통, 구토, 설사, 복통, 메쓰꺼움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신속한 검사 및 진료를 받도록 한다.
*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나타남.
** SFTS는 참진드기에 물린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30% 내외.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단은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질병관리본부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 우려로 손씻기를 자주 하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물과 음식을 먹고 마실 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과 진드기 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재차 강조하였으며,

○ 음식섭취 후 24시간 이내 수차례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와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두통, 구토, 설사, 복통, 메쓰꺼움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진료를 받고,

○ 또한, 2인 이상 집단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보건소 및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8-09-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73 Medline 화장품, 박테리아 오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04
1072 Kangaroo 슬라임 완구, 붕산 고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12.04
1071 유아용 목욕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12.04
1070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12.04
1069 ㈜피코그램 퓨리얼 직수형 정수기 출수구 코크 부품 교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4 2018.12.04
1068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18.12.03
1067 일상생활 중 끓는 물이나 음식에 의한 화상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18.12.03
1066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1065 전기난로 적정온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11.26
1064 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1.26
1063 겨울철 근로자 건강, 한랭질환 예방으로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11.26
1062 다이어트 패치, 효과 검증 안되고 피부 부작용 발생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18.11.23
1061 인터넷 불법 대출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18.11.21
1060 캠핑용 기름 난로, 일부 제품‘안전성’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8.11.20
1059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1.16
1058 보일러 가동 전 점검으로 중독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11.15
1057 [소비자안전주의보]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결함제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18.11.13
1056 표면 오염 제거제, 유해물질 및 유통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8.11.08
1055 대학수학능력시험 전후 스미싱ㆍ인터넷 사기 등 사이버범죄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11.08
1054 일회용 면봉 일부 제품,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11.07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