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국 수유시설 3,259개소 전체 실태조사 실시

 (조사기간/조사대상) ‘18.1~7전국 설치운영 중인 수유시설 

 (조사방법보건소 및 인구보건복지협회 담당자의 관내 수유시설 방문 및 면접 조사 

 (조사사항관내 수유시설 현황 파악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 이행 여부 등 점검운영 애로사항 등 의견수렴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전국 보건소를 통해 실시한 수유시설 설치현황 및 운영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18년도 전국 수유시설에 대한 실태조사는 수유환경을 개선하고, 수유 및 육아 활동의 편의 증진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현재 설치․운영 중인 전국 3,259개소를 대상으로 수유실내 비품 비치 및 청결상태, 환경 상태, 이용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 수유시설 설치 및 이용현황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국 17개 시도에 총 3,259개소 수유시설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 공중(다중)시설 1,034개소(31.7%), 공공기관 782개소(24%), 공공청사 759개소(23.3%), 교통시설 500개소(15.3%), 학교(교육기관)시설 84개소(2.6%), 민간기업 100개소(3.1%)로 조사되었다.
 ○ 수유시설 3,048개소(93.5%)가 외․내부인 모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 1일 이용자가 10명 이하인 곳이 2,682개소(82.3%)로 이용실적이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시설 관리주기는 2,826개소(86.7%)가 1일1회 이상이었고, 7일에 한번 또는 비정기적으로 이뤄지는 곳은 240개소(7.4%)로 나타났다.
 ○ 아빠도 이용 가능한 시설이 2,057개소(63.1%)로 조사되었으나, 나머지 1,202개소(36.9%)는 아빠가 수유시설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구가 설치된 곳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수유실 비품 중 쇼파․테이블은 3,137개소(96.2%)가 갖춰져 있는 반면, 기저귀 교환대는 2,363개소(72.5%), 냉난방기․정수기는 2,504개소(76.8%), 수유쿠션은 1,659개소(51%)만이 비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수유시설의 실내환경 중 조명은 2,980개소(91.4%)가 적정하게 관리되고 있었으나, 16개소(0.5%)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실내온도 및 환기상태는 2,875개소(88.2%)가 적정, 38개소(1.2%)는 미흡, 수유실내 바닥 등 오염관리는 2,931개소(89.9%)가 적정, 27개소(0.8%)는 미흡하게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건복지부는 이번 전국 수유시설 현황 및 실태조사를 계기로 수유시설 관리․운영실태의 정례적 보고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또한,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이 지켜질 수 있도록 지도를 강화한다.  
     * 이용자의 건강 및 공중위생에 해가 없도록 시설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자가 준수해야할 운영수칙(안내표지판 설치, 일조․채광․환기 등 시설의 구조 및 설비, 설치비품 등) 및 위생관리(가구․비품의 청결상태 등 점검)에 대한 가이드라인

□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수유시설검색 시스템(www.sooyusil.com)*을 개설하고 수유시설 위치정보를 등록하여 이용자가 수유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수유시설 위치 및 모유수유관련 정보제공 (‘18.8.1, 인구보건복지협회 운영)

<수유시설검색 시스템(www.sooyusil.com)>

    
□ 보건복지부 손문금 출산정책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는 처음으로 전국에 설치된 수유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번 조사를 통해 파악된 수유시설 정보를 토대로 수유시설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 더불어, “향후에는 수유시설 관리․운영실태의 정례적 보고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현장에서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이 정착되고, 수유 및 육아활동의 편의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9-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40 설 명절 성수 농식품 전국 일제 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8 31
6139 설 명절 성수식품 합동 감시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3
6138 설 명절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0 159
6137 설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21 18
6136 설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2 14
6135 설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3 19
6134 설 명절 앞두고 식품위생법 등 위반업체 135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1 29
6133 설 명절 앞두고 위생불량업소 등 485곳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3
6132 설 명절 전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3 13
6131 설 명절 전후 불법사금융,보이스피싱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 피해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7 14
6130 설 명절 준비, ‘주차 걱정’ 없는 전통시장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1 12
6129 설 명절 준비는 “주차 고민 없이 전통시장에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24 40
6128 설 명절 직전 계란, 배추.무 등에 대한 수급안정 대책 집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55
6127 설 명절 틈탄 대출빙자 '그놈목소리'를 조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89
6126 설 명절 항공권·택배·상품권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7 14
Board Pagination Prev 1 ...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