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성묘,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에 대비한 야생진드기 3대 예방수칙 안내서 배포

▷ 3대 예방수칙은 가리고 뿌리기, 지키고 피하기, 털고 씻기


환경부(장관 김은경)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야생진드기 매개 질병에 대한 3대 예방수칙을 담은 '안전한 야외활동을 위한 야생진드기 예방요령' 안내서를 9월 17일부터 국립공원, 지자체 주민센터 등 전국에 배포한다.

이번 안내서는 벌초, 성묘, 등산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추석을 앞두고, 야생진드기 매개 질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이하 SFTS)*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으로, 고열과 함께 혈소판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

SFTS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야생진드기(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야생동물과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된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지난해 SFTS 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 수는 54명이며, 올해는 8월 31일 잠정 통계 기준으로 28명에 이른다.
※ 야생멧돼지 중 SFTS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18.7.6, 7.18(국립환경과학원)
※ SFTS 연도별 환자(사망자) 수: '15년 79명(21명), '16년 165명(19명), '17년 272명(54명), '18년 151명(28명) (8.31 잠정통계, 질병관리본부)

안내서는 3대 예방수칙과 함께 진드기에 물린 자국을 발견하거나 고열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대처요령 등을 수록했다.

3대 예방수칙은 ① 가리고 뿌리기 ② 지키고 피하기 ③ 털고 씻기다. 야외 활동을 할 때에는 긴 옷을 입어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벌레 기피제 등을 뿌리는 것이 좋다. 탐방로, 산책로 등 지정된 통행로를 지키고 야생동물 접촉을 피해야 하며, 외출 후에는 입었던 옷을 털어 내고 즉시 몸을 씻어야 한다.

이 밖에 안내서는 반려동물도 작은소피참진드기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함께 외출한 후에는 반려동물의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는 등의 관리요령도 담았다.

이번 안내서는 9월 17일부터 환경부(http://www.me.go.kr) 및 국립환경과학원(http://www.nier.go.kr) 누리집에도 그림파일(PDF) 형태로 전문을 받아 볼 수 있다.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장은 "야외활동 시 진드기와 야생동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3대 주요 행동수칙을 잘 준수하면 자칫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야생진드기 매개질병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라며, "작은소피참진드기의 활동 시기는 4월부터 11월이며, 집중 발생 시기는 7월부터 10월까지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09-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73 Medline 화장품, 박테리아 오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18.12.04
1072 Kangaroo 슬라임 완구, 붕산 고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18.12.04
1071 유아용 목욕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12.04
1070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8.12.04
1069 ㈜피코그램 퓨리얼 직수형 정수기 출수구 코크 부품 교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4 2018.12.04
1068 수입차 관련 소비자피해,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18.12.03
1067 일상생활 중 끓는 물이나 음식에 의한 화상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18.12.03
1066 올 겨울에는 내 주변 눈치우기 꼭 실천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4 2018.11.29
1065 전기난로 적정온도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4 2018.11.26
1064 해외 사기사이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1.26
1063 겨울철 근로자 건강, 한랭질환 예방으로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18.11.26
1062 다이어트 패치, 효과 검증 안되고 피부 부작용 발생 우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18.11.23
1061 인터넷 불법 대출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18.11.21
1060 캠핑용 기름 난로, 일부 제품‘안전성’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8.11.20
1059 질병관리본부,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1.16
1058 보일러 가동 전 점검으로 중독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18.11.15
1057 [소비자안전주의보]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결함제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18.11.13
1056 표면 오염 제거제, 유해물질 및 유통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8.11.08
1055 대학수학능력시험 전후 스미싱ㆍ인터넷 사기 등 사이버범죄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8.11.08
1054 일회용 면봉 일부 제품,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11.07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