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 차량 주행 시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 음식조리 중 자리 비우지 않기-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석 명절을 맞아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추석 명절* 전후로 총 17,971건의 교통사고와30,72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13.9.17.∼9.22.(6일), ’14.9.5.∼9.10.(6일), ‘15.9.25.~9.29.(5일), ’16.9.13.∼9.18.(6일), ‘17.9.29.∼10.9.(11일)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 중에서도 특히, 연휴 전날 교통사고 건수는 810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 607건 보다 1.34배 많이 발생하였다. 교통사고를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 14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8시경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연휴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많기 때문에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가 171명으로 평소 153명보다 12%(18명)가 증가하였다.

사상자 발생이 증가한 원인으로는 뒷좌석의 안전벨트 착용률이 낮아(990건, 59.2%) 사고 발생 시 위험을 가중 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추석에는 명절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최근 5년간(’13~’17년) 추석 연휴에*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478건이며, 추석 전날(35건)과 추석 당일(34건)에 평소(31건)보다 많이 발생했다.
* ‘13.9.18.~9.20.(3일), ’14.9.7.~9.9.(3일), ‘15.9.26.~9.28.(3일), ’16.9.14.~9.16.(3일), ‘17.10.3.~10.5.(3일)

명절에는 온 가족이 모이는 부모님 댁 등에서 한꺼번에 음식을 장만하는 점을 고려할 때, 화재 건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화재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음식물 조리나 화기 방치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272건(57%)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전기적 원인 90건(19%) 순으로 발생하였다.
* 음식물 조리중, 담배꽁초, 불장난, 쓰레기 소각, 불씨, 불꽃 화원 방치 등(출처: 화재통계연감)

안전한 추석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반드시 확인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 후에 운전한다.

주행 중에는 전 좌석에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특히, 어린 자녀와 동승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한다.

또한, 음복 등으로 가볍게라도 음주를 했다면 절대 운전하지 말고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운전하도록 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한다.

가스(전기)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환기에 주의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맞아 평소보다 안전수칙을 잘 지켜서 안전하고 평안한 추석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9-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53 냉장보관 필요 표시사항을 누락한 델리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1.09.13
2052 이물질(철 성분) 혼입 가능성 있는 유니클로 에어리즘 탱크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9.13
2051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003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1.09.14
2050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9.14
2049 겉창 핀 접착이 불량한 RBB 낚시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9.14
2048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WIFI 연결 멀티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1.09.14
2047 사용기한 내에 성분 함량이 미달 되는 나보린 약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1.09.14
2046 기준치 초과 에틸렌 옥사이드 검출 된 Bio-Moringa 제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1.09.14
2045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21.09.14
2044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4
2043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09.14
2042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9.14
2041 신기술조합 투자(출자)는 위험이 매우 큰 투자이므로, 판매 증권사를 통해 투자 관련 정보를 충분히 확인하세요 ? 소비자 경보 ‘주의’ 발령 및 행정지도 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9.15
2040 A형간염 지속 발생으로 예방수칙 준수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1.09.15
2039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5
2038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쏘임 등 독성생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9.15
2037 동영상으로 알기 쉽게 배우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9.16
2036 누드본즈 / NUDEBONE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6
2035 가을철, 진드기 및 쥐와도 거리두기를 실천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9.16
2034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9.17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