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노인 보행사망자 감소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의 핵심!
-행안부,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49개소 특별점검 추진-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9월 12일부터 19일까지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으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대해서 특별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경찰청과 지자체를 비롯하여 도로교통공단, 민간전문가 및 대한노인회가 함께 참여한다.

점검대상은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지난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 552개소* 중 개선이 시급한 사고 위험지역 49개소**를 선정하였다.
* 반경200m이내에서 노인 보행중 사고 3건 이상 발생지역(사망사고 포함시 2건 이상)
** 사고발생 7건 이상(특・광역시는 10건 이상) 또는 사망자 2명 이상 발생지역

점검대상으로 선정된 사고 위험지역 49개소에서는 작년에 총 323건의 교통사고로 사망자 51명, 부상자 313명이 발생하였다.

작년 기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4,185명 중에서 보행 사망자는 40%(1,675명)이고, 그 중 노인 보행 사망자는 54%(906명)로 보행 교통사고 중 노인이 가장 취약한 실정이며, 지난 10년간 보행 사망자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장소는 시장, 병원 등 노인 유동인구가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 부산 부전시장, 서울 청량리시장, 청주 육거리시장 등 9개소가 최근 3년간 중복 발생

전체 교통사고 323건 중 197건(61%)이 도로 횡단 중에 발생하였고, 시기별로는 날씨로 인해 행동이 느려지는 겨울철(11~1월, 93건)에 많이 발생하였다.

시간대별로는 활동인구가 많은 낮 시간(12~14시, 50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행안부에서는 이번 특별점검을 통해 교통사고 현황분석, 교통안전시설 진단, 사고위험요인 등을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행안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예산이 새롭게 반영(20억원)되어 사고다발지역에 대한 체계적 정비를 통해 노인 보행자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전체 보행 사망자 중 노인 사망자가 절반을 차지하는 만큼,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감축에 정책 중점을 두고 사고다발지역에 대한 정례적 진단과 대대적인 정비를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9-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58 신고정보 불명확 이륜차 일제 조사… 16만건 현행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1 34
6157 숙박앱 계약서 등 자율적 개선결과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3 34
6156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자 2월 10일부터 동네 병의원을 통한 전화 처방·상담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9 34
6155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고온에서 사용 시 충전속도 최대 2.8배 느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6154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2.8.)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4
6153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일부개정안 입법예고(1.10~2.28)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0 34
6152 한국공항공사, 「공항 소요시간 안내서비스」 세계 첫 개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4
6151 신속한 주민등록번호 변경 심사로 주민등록번호 유출 피해자 보호를 강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4
6150 2021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5 34
6149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 1.16(일)까지 2주 연장, 청소년 접종증명?음성확인제 시행일 내년 3월 1일로 연기, 거리두기 연장에 따른 소상공인 손실보상 선지급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3 34
6148 ‘내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180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4
6147 국민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을 개선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30 34
6146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6 34
6145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신발, 품질 및 청약철회 소비자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0 34
6144 [보도참고] 카드뮴 기준 초과 수입 냉동오징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1 34
Board Pagination Prev 1 ...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