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가을철 독버섯을 식용버섯으로 착각하여 먹지 않도록 주의 필요

▷ 야외 활동 시 뱀, 말벌과 알레르기 유발 성분가진 식물도 조심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가을철에 등산 등 야외 활동을 할 때는 독버섯 등 독성을 가진 야생생물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을철은 야생버섯이 많이 발생하는 계절로 국립공원 탐방로나 야영장 주변에서도 야생버섯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야생버섯은 식용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개나리광대버섯, 화경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등 맹독버섯이 많아 이를 먹었을 때 자칫 심각한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국립공원 내 임산물 채취는 허가 대상으로 불법으로 채취하다 적발되면 '자연공원법'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또한, 짧은 옷을 입거나 향이 진한 화장품을 쓰고 야외 활동을 할 경우 뱀에게 물리거나 벌에 쏘일 수도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탐방로와 야영장 등에서 말벌집을 발견하면, 즉시 제거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말벌의 활동이 왕성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집을 지을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공원 내에서 말벌집을 발견하면, 벌집을 자극하거나 스스로 제거하지 말고 반드시 국립공원사무소나 소방서에 연락해야 한다.

말벌집을 건드렸을 땐 웅크리지 말고 그 자리에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빠르게 벗어나야 한다. 통상 말벌은 벌집 반경 20m를 자신들의 영역으로 삼는다.    

지난 5년간 국립공원 내에서 뱀에 물린 사고는 총 2건이다. 2014년 주왕산에서 탐방로를 벗어난 곳에서 휴식 중 물린 1건과 2015년 월악산 야영장에서 물린 1건으로 빠른 대처 및 병원 후송으로 뱀에 물린 사람들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유혈목이 등 4종이다. 만일 뱀에 물릴 경우 흥분하여 뛰게 되면 혈액 순환이 증가해 독이 빨리 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는 것을 막고 3~4시간 내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밖에도 잎과 줄기의 가시 털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만지거나 스치면 강한 통증을 유발하는 쐐기풀류,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에 대한 식물도 주의가 필요해 반드시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나공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가을철 독성을 가진 야생생물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추석을 앞두고 등산, 벌초 등 야외활동을 할 경우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향이 강한 화장품은 쓰지 않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18-09-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89 접지가 미흡하여 감전 위험있는 Puhui 예열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2
1288 감전 사고 위험이 있는 Yage 전기모기채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0.12
1287 감전 사고 위험이 있는 헤어스타일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10.12
1286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방향제 자발적 리콜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0.12
1285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탈취제 자발적 리콜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0.12
1284 가짜 대출! 개인과 사회를 망치는 ?내구제 대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0.14
1283 영유아에서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증」 유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10.14
1282 미생물 오염 가능성 있는 Kate Farms 영양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0.17
1281 에틸렌옥사이드 오염 가능성 있는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0.17
1280 자석 이물 혼입 가능성 있는 HiPP 과일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0.17
1279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6 2022.10.17
1278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2.10.17
1277 수은을 함유한 Crusader 비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0.17
1276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0.17
1275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17
1274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돈부리(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10.17
1273 곰팡이 오염된 켄민푸드 고단백 국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10.17
1272 플라스틱 이물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Milupa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0.17
1271 금속 필라멘트 이물 혼입된 Cemoi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0.17
1270 포장 오류로 다른 제품 들어 알러지 위험 있는 하쿠바쿠 잡곡(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0.17
Board Pagination Prev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