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중앙방역대책본부 가동 및 밀접접촉자 등에 대한 집중관리 진행 중 -
 
◇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확진자 발생 위기평가회의 개최,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
◇ 환자 입국 이후 동선과 접촉자 조사 계속 진행 중으로 밀접접촉자 21명에 대한 격리 및 증상 모니터링 진행 중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8일 저녁, 긴급상황센터장 주재로 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하고,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른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 질병관리본부 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여 메르스 추가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 관심(해외 메르스 발생)  – 주의(해외 메르스 국내 유입) – 경계(메르스 국내 제한적 전파) - 심각(메르스 지역사회 또는 전국적 확산)

 ○ 또한 전국 17개 시도에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격상 사실을 알리고, 모든 시도별로 지역 방역대책반을 가동할 것을 지시하였다.

□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는 확진환자 입국 이후의 이동경로와 접촉자 조사를 계속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파악된 밀접접촉자는 21명으로 이는 9월 8일 발표한 밀접접촉자 수 20명에서 1명이 추가로 확인된 것이다.

 ○ 현재 밀접접촉자는 해당 지역 보건소에서 자택격리와 증상 모니터링 중이며, 최대 잠복기인 접촉 후 14일까지 집중 관리 예정이다.


 ○ 또한, 이동경로 조사 결과, 삼성서울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할 때는 서울시 강남구보건소의 음압격리구급차(운전기사 개인보호구 착용)를 이용하였고, 서울대병원 의료진은 환자진료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확진환자와 항공기에 동승한 승객 등을 비롯한 일상접촉자(440명)의 경우 해당 지자체에 명단을 통보하여 수동감시* 진행 중이다.

   * (수동감시) 잠복기(14일) 동안 관할보건소가 정기적(5회)으로 유선·문자로 연락하고, 대상자가 의심증상 발현시 해당보건소로 연락하도록 안내 및 관리

 ○ 추가적으로 확진환자의 공항 내 이동경로와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접촉자 확인을 위해 CCTV 분석 및 접촉자 조사를 진행 중으로 접촉자 숫자는 변동될 수 있다.

□ 확진환자는 검역단계에서 설사증상만을 신고하고, 메르스 의심증상인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은 동반되지 않고, 고막체온계 측정 결과 정상체온(36.3℃)으로 측정되어 의심환자로 분류되지 않았고,

 ○ 인천공항 검역관은 검역조치 후 발열 등 증상 발생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에 신고할 것을 당부하고, 메르스 예방관리 홍보자료 등을 배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서울시 등 지자체와 함께 접촉자 조사 및 관리를 철저히 하여 추가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고,

 ○ 국민들에게는 중동방문시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 여행 중 농장방문 자제, 낙타 접촉 및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와 생낙타유 섭취 금지, 진료 목적 이외의 현지 의료기관 방문 자제 등 메르스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과,

  -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성실히 작성하는 등 검역에 협조하고, 귀국 2주 이내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말고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는 호흡기 질환자 내원시 내국인은 DUR을 통해, 외국인은 문진 등을 통해 중동 여행력을 확인하고, 메르스 환자로 의심될 경우 해당지역 보건소나 1339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정확·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보건복지부 2018-09-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94 에어컨 사전 구매 및 점검으로 설치·수리 지연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26
1093 Kids II 아기 요람, 질식사고 발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7.22
1092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20.01.08
1091 10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7.10.10
1090 고층건물에 설치된 노인요양시설, 긴급피난 어려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8.02.02
1089 IKEA 사탕, 쥐 접촉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8.04.12
1088 Dewalt 전기 드릴, 사용 중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9.03.12
1087 위드펫 / WithPe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1.10.18
1086 Intenze 문신잉크(Lining Black),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8.05.17
1085 인터넷교육서비스, 6개월 이상 장기계약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04.23
108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1083 블랙프라이데이 앞두고 해외직구피해주의보 발령…11,12월에 피해 집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11.04
1082 신년 맞이 산행,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1.03
1081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0.03.12
1080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4.16
1079 Lee’s Tea 찻잎,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5.16
1078 코로나19 관련 헬스장 이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0.03.19
1077 화재 위험 있는 HONDA 휴대용 발전기 무상수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0.08.24
1076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Emergen-C(24팩)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1.12.22
1075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3.04.14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