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예초기 작업 시 보호 장비 착용으로 사고 예방하세요!
-주간(9.9.~9.15.)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로 벌초 작업을 할 때는 보호 장비를 철저히 갖춰 다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예초기 사고*는 총 572건이며, 이 중 벌초 등으로 예초기 사용이 많아지는 9월에 209건(37%)으로 가장 많았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접수된 신고 건수(접수월 기준)

사고를 연령별로 분석해 보면 50대가 172명(30%)으로 가장 많았고, 예초기 사고 10건 중 7건(394건, 69%)이 50대 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예초기를 사용하다 주로 다치는 부위는 하체 부분(엉덩이, 다리, 발)이 303건(53%)으로 가장 많았고 팔과 손 137건(24%), 머리와 얼굴 82건(14%) 순이다.

그리고 상해 유형은 칼날 등에 베이거나 찔려서 발생하는 사고가 406건(71%)으로 가장 많았고, 뼈가 부러지는 골절(38건, 7%)이나 눈으로 이물질이 튀어 들어가 발생하는 안구손상도 25건(4%)이 발생하였다.□ 예초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예초기 칼날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일론 칼날을 쓰고 작업의 목적과 주변 환경에 맞추어 적합한 칼날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 때 예초기 칼날에는 보호덮개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연하면서도 키 작은 잡초 → 나일론 날(2도날도 가능하나 나일론 날 권장) 비교적 키 작은 잡초 → 3도날 또는 4도날, 억센 잡초 → 8도날 직경 20mm이하의 관목 → 톱날

작업 전에는 반드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한다.

예초 작업 중에는 돌과 나뭇가지, 금속파편 등이 튀어 위험하니 작업 반경 15m 이내에는 가까이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작업 중 예초기 칼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는 반드시 예초기 동력을 차단하고 장갑을 낀 후 제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를 사용하여 벌초 작업을 할 때는 주변에 벌집 등 위험요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음주 후에는 작업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1 가상자산 투자를 권하는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연락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3.20
2930 봄철 공장.축사 등 지붕수리 추락주의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3.02
2929 금속 조각 혼입으로 섭취 시 부상 위험 있는 Daim 아몬드 케이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2.17
2928 박테리아 오염돼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Ahrenshof 의료용 비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2.10
2927 현대플라자 / HYPLAZ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2.07
2926 저속 주행 시 고주파 소음 발생하는 기아(주) EV6 차량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2.06.13
2925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2.03.10
2924 살모넬라균 검출된 '순대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1.10.12
2923 2021.2분기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주요 제재 사례 및 투자자 유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1.08.02
2922 수산화칼륨이 과다 함유된 Ecover 세탁세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1.03.17
2921 90년대생 청년층, 대출수수료 30% 사기 작업대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7.15
2920 TRUSCO 진공청소기 발화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7.01
2919 유명 선글라스 브랜드 ‘레이밴’ 사칭 사이트 거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6.29
2918 비 많고 무더운 7월, 호우·산사태·폭염·물놀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6.25
2917 2019년 상반기 달라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해외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12.28
2916 겨울 산행 사고 대부분은 골절·상처…방한복 준비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12.17
2915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6.22
2914 Perlier 바디크림(Body Honey Miel - Fluid Cream Moisturizing),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3.21
2913 Laduo 와이파이 스마트 소켓,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3.21
2912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12.28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