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예초기 작업 시 보호 장비 착용으로 사고 예방하세요!
-주간(9.9.~9.15.)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로 벌초 작업을 할 때는 보호 장비를 철저히 갖춰 다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 발생한 예초기 사고*는 총 572건이며, 이 중 벌초 등으로 예초기 사용이 많아지는 9월에 209건(37%)으로 가장 많았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접수된 신고 건수(접수월 기준)

사고를 연령별로 분석해 보면 50대가 172명(30%)으로 가장 많았고, 예초기 사고 10건 중 7건(394건, 69%)이 50대 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예초기를 사용하다 주로 다치는 부위는 하체 부분(엉덩이, 다리, 발)이 303건(53%)으로 가장 많았고 팔과 손 137건(24%), 머리와 얼굴 82건(14%) 순이다.

그리고 상해 유형은 칼날 등에 베이거나 찔려서 발생하는 사고가 406건(71%)으로 가장 많았고, 뼈가 부러지는 골절(38건, 7%)이나 눈으로 이물질이 튀어 들어가 발생하는 안구손상도 25건(4%)이 발생하였다.□ 예초기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예초기 칼날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나일론 칼날을 쓰고 작업의 목적과 주변 환경에 맞추어 적합한 칼날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 때 예초기 칼날에는 보호덮개를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연하면서도 키 작은 잡초 → 나일론 날(2도날도 가능하나 나일론 날 권장) 비교적 키 작은 잡초 → 3도날 또는 4도날, 억센 잡초 → 8도날 직경 20mm이하의 관목 → 톱날

작업 전에는 반드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한다.

예초 작업 중에는 돌과 나뭇가지, 금속파편 등이 튀어 위험하니 작업 반경 15m 이내에는 가까이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작업 중 예초기 칼날에 이물질이 끼었을 때는 반드시 예초기 동력을 차단하고 장갑을 낀 후 제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추석을 앞두고 예초기를 사용하여 벌초 작업을 할 때는 주변에 벌집 등 위험요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음주 후에는 작업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9-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00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2 2018.08.29
4299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8.08.30
4298 페루 북부 국경지대 툼베스주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7 2018.08.31
4297 가을철 발열 질환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1 2018.09.05
4296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5 2018.09.06
4295 Munchikin 목욕 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4 2018.09.06
4294 Oball 유아용 완구, 부품 파손으로 질식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7 2018.09.06
4293 Under Armour 야구화,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2 2018.09.06
4292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2 2018.09.06
4291 지진 행동요령, 미리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5 2018.09.06
» 예초기 작업 시 보호 장비 착용으로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9 2018.09.06
4289 Kellogg's 시리얼(Honey Smacks),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3 2018.09.07
4288 LL's Magnetic Clay 식품보조제(Prescript-Assist), 알레르기원 미표기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6 2018.09.07
4287 Zoggs 수경세척제, 안구 통증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4 2018.09.07
4286 Badefee 입욕제,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0 2018.09.07
4285 Sparkling Ice 음료수, 변질 우려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4 2018.09.07
4284 Wish Bone 샐러드드레싱,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4 2018.09.07
4283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0 2018.09.07
4282 Shan Shi 간장, 이물 혼입되어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7 2018.09.07
4281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7 2018.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65 Next
/ 26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