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50만 업종․업소 정보, 언제든 쉽게 볼 수 있어요
- 행안부, 지방인허가 개방시스템 새롭게 오픈하여 국민 경제활동 지원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50년간 축적된 자치단체 인허가 정보를 개방하여 국민 경제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개방 시스템」을 개선하여 6일 새롭게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개방시스템*」은 17개 시도, 226개 시군구 전국 자치단체의 인허가 자료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매일 자동으로 수집하고, 축적된 다양한 인허가 행정정보를 일반국민은 물론 소상공인, 자영업자, 기업 등에게 제공한다.
* 인터넷 주소: http://www.localdata.go.kr

‘15년 구축 이후 서비스 변경 없이 운영되어 이용편의성이 다소 부족하고 회원가입 등 불필요한 기능 등이 존재하여, 인허가 데이터의 분류 및 제공체계를 개편하고 공공데이터 제공과 활용 관련 기본 목적에 충실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기존 단순 나열식의 데이터 개방에서 7개 분야 36개 그룹 189업종으로 분류하여 사용자 편의를 높였고, 인허가 특성상 업종별 제공 형태가 상이한 기본제공 데이터*와 선택 데이터**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상호, 주소, 영업상태
** 용도, 면적, 층수, 다중이용시설, 보험가입 등

특히, 지역별 업종 분포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였고, 업종별 지역별 검색도 가능하게 구성하여 자영업이나 소상공인 창업시 상권분석*, 시장성 검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내 동일업종 현황, 연도별 개업․페업 내역, 영업 지속률 등을 파악

기업은 750만 업종․업소 정보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활용 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 개발환경(Open API) 제공 등을 통해 웹․앱 서비스 개발 업무에도 활용하여 IT산업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향후에도 행정안전부는 지속적으로 지자체 인허가 데이터 품질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관심 분야 인허가 업종정보를 확대 개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09-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73 산재환자에 대한 화상 치료 전국적 진료망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0
6172 2019년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2019년 4월 시도별 임금.근로시간조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30 17
6171 소규모 생활숙박시설에도 수분양자 보호규정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2
6170 우리 집에는 어떤 환기설비가?…매뉴얼 보고 직접 관리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6
6169 한국지엠 등 다카타에어백, 현대, 볼보, 아우디 등 리콜실시 [총 9개사 204,709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7
6168 사업 계속 의사 있어도 사실상 폐업상태라면 도산한 것으로 인정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0
6167 적극적 구직노력 인정되면 같은 사업주에 재취업해도 ‘조기재취업수당’ 받을 길 열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22
6166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7
6165 어린이집의 회계 투명성 및 통학차량 안전 관리 의무를 강화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13
6164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노동인권과 근로환경 보호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21
6163 2019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1 41
6162 재미있는 교육 영상으로 비만을 예방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2 32
6161 질병감염아동 돌봄지원서비스 올해 약 3만여 건 이용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2 41
6160 10월 2일부터 스마트폰으로 내 세금정보 조회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2 53
6159 운전면허증,“이제는 지갑 아닌 스마트폰에 담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02 48
Board Pagination Prev 1 ...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