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50만 업종․업소 정보, 언제든 쉽게 볼 수 있어요
- 행안부, 지방인허가 개방시스템 새롭게 오픈하여 국민 경제활동 지원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50년간 축적된 자치단체 인허가 정보를 개방하여 국민 경제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개방 시스템」을 개선하여 6일 새롭게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개방시스템*」은 17개 시도, 226개 시군구 전국 자치단체의 인허가 자료를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매일 자동으로 수집하고, 축적된 다양한 인허가 행정정보를 일반국민은 물론 소상공인, 자영업자, 기업 등에게 제공한다.
* 인터넷 주소: http://www.localdata.go.kr

‘15년 구축 이후 서비스 변경 없이 운영되어 이용편의성이 다소 부족하고 회원가입 등 불필요한 기능 등이 존재하여, 인허가 데이터의 분류 및 제공체계를 개편하고 공공데이터 제공과 활용 관련 기본 목적에 충실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기존 단순 나열식의 데이터 개방에서 7개 분야 36개 그룹 189업종으로 분류하여 사용자 편의를 높였고, 인허가 특성상 업종별 제공 형태가 상이한 기본제공 데이터*와 선택 데이터**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상호, 주소, 영업상태
** 용도, 면적, 층수, 다중이용시설, 보험가입 등

특히, 지역별 업종 분포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였고, 업종별 지역별 검색도 가능하게 구성하여 자영업이나 소상공인 창업시 상권분석*, 시장성 검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내 동일업종 현황, 연도별 개업․페업 내역, 영업 지속률 등을 파악

기업은 750만 업종․업소 정보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활용 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 개발환경(Open API) 제공 등을 통해 웹․앱 서비스 개발 업무에도 활용하여 IT산업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향후에도 행정안전부는 지속적으로 지자체 인허가 데이터 품질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 관심 분야 인허가 업종정보를 확대 개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09-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14 내가 사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민원혜택 한눈에 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1 61
4513 합기도 등 어린이 탑승차량, 스크린야구장, 키즈카페...안전관리 강화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7 61
4512 혁신성장의 날개, 드론의 비상…“10월의 드론 축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19 61
4511 “P2P 금융 피해, 유령 상품을 통한 허위 대출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4 61
4510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07 61
4509 상호금융조합*에 잠자고 있는 재산을 「내 계좌 한눈에」에서 조회 후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8 61
4508 어린이집 통학차량 동승보호자, 안전교육 반드시 이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0 61
4507 통계청·소방청- 생활안전사고 예방과 감소를 위해 구조활동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나가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1 61
4506 화물차 고속도로 통행료 심야할인 1년 연장…할인율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2.18 61
4505 국립공원관리공단 명칭 '국립공원공단'으로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08 61
4504 3월말까지 필수예방접종 완료하고 초중학교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01 61
4503 민방위경보(사이렌‧방송)에 전광판도 활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5 61
4502 연간 불법 주·정차 연계형 교통사고 85,854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61
4501 발달장애인의 의료이용과 행동문제 치료가 확대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7 61
4500 0325(03.26.조간)어린이 면마스크 2개 모델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6 61
Board Pagination Prev 1 ...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