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을철 발열 질환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 집중호우, 태풍 이후 복구작업 또는 농작업 시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추석 명절 벌초, 성묘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
◇ 농작업 및 야외활동 후 발열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 진료

 ※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10월∼11월)에 발생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증가 지속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폭염과 집중호우 이후 농작업과 야외활동 시 가을철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진드기 매개감염병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설치류 매개감염병(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등 가을철 감염병 예방을 위해, 농작업및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 하고,
  - 고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가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가을철(9~10월)에 환자 발생이 증가하므로 농작업,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렸는지 꼼꼼하게 확인을 하고,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진드기를 안전하게 제거하고 소독을 실시하도록 하며,
 - 고열과 구토, 설사, 복통, 메쓰꺼움 등의 소화기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신속한 검사 및 진료를 받도록 한다.
  * 참진드기에 물린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30% 내외, 직접 피부를 만져
    참진드기에 물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 특히, 집중호우와 태풍 이후에 복구작업 또는 농작업을 할 때에는 오염된 물 접촉, 상처를 통해 설치류 매개 감염병인 렙토스피라증 환자 발생 증가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동물의 소변에 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특히 고여 있는 물 등)에서 작업할 때는 피부 노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반드시 작업복(장화, 장갑 등)을 착용해야 한다.

  - 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인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주로 가을*에 발생하며,
   * 렙토스피라증 (9∼11월, 62%이상 발생), 신증후군출혈열 (10∼12월, 60%이상 발생)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 상처 등이 노출되어 감염되고,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 쯔쯔가무시증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과 구토, 설사, 복통, 메쓰꺼움 등의 증상을 나타냄
    * 렙토스피라증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쥐 등의 설치류, 소·돼지· 개 등의 가축)의 소변 등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충혈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신증후군출혈열 : 한탄/서울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건조된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냄

□ 질병관리본부는 보건소 및 유관기관을 통해 매년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 등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작업 및 야외 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야외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착용하기
    * 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 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으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하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
○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쥐 등의 설치류, 소, 돼지, 개 등의 가축)의 소변을 통해 주로 노출되므로, 고여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고,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특히 장화)을 반드시 착용하기
 - 홍수 이후 벼베기/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 후 발열이 있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기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수칙
 -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하여 쥐잡기를 실시하고 쥐의 배설물과 접촉 피하기
 -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 하기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 받기



[ 보건복지부 2018-09-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132 낙뢰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8.01
1131 나이스마켓 - 청호나이스 정보도용 쇼핑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7.17
1130 나사 불량으로 오작동 및 낙상 위험이 있는 Scarpa 스키부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4.18
1129 나사 결함으로 화재 위험 있는 Sierra 선박 엔진 부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3.02.14
1128 나를 구제하지 못하는 ?내구제 대출(휴대전화 깡)?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5.27
1127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26
1126 나들이 계절, 외부 활동 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6.21
1125 나도 공황장애? 약 복용할 때 이런 점은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0.12.21
1124 나노필터 등 일반 부직포 마스크 제품 안전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11.09
1123 나노 식품 및 화장품, 안전 관리·감독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13
1122 끼임 사고 발생할 수 있는 Liftmaster 창고문 제어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3.04.03
1121 끝부분이 날카로워 부상 위험 있는 Dulton 커트러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0.11.23
1120 끓였던 음식이면 무조건 안전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4.12
1119 끈에 질식할 우려 있는 PlanToys 카메라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12.19
1118 꽃차를 섭취하기 전에 먹을 수 있는 꽃인지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7 2020.11.23
1117 깊어진 가을, 10월에는 어떤 사고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18.10.04
1116 긴급재난문자 수신 안 되는 휴대전화, ‘안전디딤돌’ 앱 설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7.10.12
1115 긴 추석 연휴, 아프다고 걱정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09.25
1114 긴 끈으로 인해 영유아 목졸림 위험 있는 Konig Kids 모빌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2.09
1113 기준치를 초과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Flora Natura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