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관공서 서류 제출, 방문 없이 인터넷으로 가능
- 9월 3일부터 행정업무 全 분야 「문서24」 서비스 전면 시행-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9월 3일부터 모든 행정업무 분야에서 양방향 문서유통시스템인 「문서24」 서비스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행안부가 ‘16.7월 일부 행정분야부터 시작했던 「문서24」를 행정업무 전반으로 확대함으로써 정부혁신 추진은 물론 국민들이 행정업무를 위해 사용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문서24」를 통한 서류 제출은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처리하는 모든 행정업무 분야에서 가능하며, 제출뿐만 아니라 결과 확인까지도 할 수 있게 되어 국민편의 및 행정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17년 한 해 동안 관공서에서 취급한 비전자 문서는 약 1,380만건*으로 이를「문서24」서비스가 대신하게 되면 최대 매년 1,390억원의 비용(종이문서 인쇄비, 교통비, 인건비 등) 절감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문서24」를 이용하려면 먼저 누리집(open.gdoc.go.kr)에 접속, 로그인(카카오톡, 네이버 ID 등) 후 문서작성 메뉴를 선택하여 일반 전자우편 방식으로 문서를 작성하고 수신처를 지정하여 제출하면 된다.

일반 국민이 「문서24」로 제출한 문서가 정부업무관리(온-나라 문서) 시스템에서 접수되면 담당자는 이를 등록‧처리하고 그 결과를 「문서24」로 회신하게 되며, 신청인은 「문서24」의 받은 문서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출한 문서의 진행과정은 전자우편 또는 카카오톡 등으로 안내하여 제출한 문서의 처리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3일(월) 협회·단체 및 일반 국민과 함께 「문서24」 서비스 개통식 행사를 개최하여, “국민과 함께 만드는 문서24” BI(Brand Identity) 공모전 시상(대상 1, 최우수상 2)과 개통 선언식을 가졌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문서24」 서비스는 직접 방문이나 우편 이용 없이 모든 공문서 제출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므로, 민원 신청방식에 근본적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이용을 부탁드림과 동시에 정부도 국민을 위한 ‘새로운 정부 혁신, 서비스 하는 행정’이 정착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9-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25 2019년 기준 가맹현황 분석 자료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15
5524 '19년 12월 결산법인은 3월말까지 법인세 신고·납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64
5523 빈집을 활용한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동네가 새롭게 태어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6 21
5522 현대, 벤츠, BMW, 아우디, 한불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12,463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3
5521 28일부터 승용·화물·특수차도 캠핑카로 제작·튜닝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5
5520 코로나19 예방 위해 유연근무제 지원절차 간소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8
5519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1
5518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검역법」·「의료법」, 2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2
5517 어린이 키 성장 효능.효과 표방 업체 점검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6
5516 실습 등 목적인 경우에 한해 청소년 호텔 근무 허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1
5515 저가형 휴대용 카시트, 안전인증 표시 없고 보호기능도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9
5514 무인민원발급 수수료, 신용카드·모바일 결제까지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32
5513 어린이집 보육시간, 기본보육과 연장보육으로 구분하여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24
5512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32만 원·상한액 503만 원 2020년 7월부터 상향 적용 예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35
5511 174개「국민안심병원」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8 12
Board Pagination Prev 1 ...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