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와 이례적인 폭염이 지속되면서 샌들·슬리퍼 등 여름용 신발 관련 소비자 불만이 증가하고 있어, 여름용 신발 구입 및 관리에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에서 하자 원인 규명 심의를 진행한 여름용 신발 관련 121건** 중 약 80%(94건)가 6~7월에 의뢰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은 신발 및 신발세탁 관련 소비자분쟁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업무혁신의 일환으로 2015. 7.부터 부산지원에 신발제품심의위원회를 설치·운영 중에 있으며, 전문가의 관능검사를 통한 심의절차를 통해 원활한 소비자 피해구제를 도모

** 신발제품심의위원회는 2018. 1.∼7. 동안 총 1,088건의 신발류 심의를 진행했으며, 이 중 샌들, 슬리퍼, 아쿠아슈즈, 장화 등을 포함한 여름용 신발은 121건을 차지

◎ 내구성 불량 40.7%, 설계·접착 불량 각각 16.1%, 부소재 불량 11.1% 차지

심의 의뢰된 여름용 신발 관련 121건 중 신발 자체의 품질하자로 판단된 81건의 하자원인을 분석한 결과, 내구성 불량 40.7%(33건), 설계 불량 및 접착 불량 각각 16.1%(13건), 부소재 불량 11.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품질하자 유형별 현황 ]

                                                                                                                                                                                               [단위 : 건, (%)]

구분

내구성불량

설계 불량

접착 불량

부소재*불량

염색·코팅불량

수선 불량

마감 불량

기타

건수 (비율)

33 (40.7)

13 (16.1)

13 (16.1)

9 (11.1)

7 (8.6)

3 (3.7)

1 (1.2)

2 (2.5)

81 (100.0)


내구성 불량의 주요 내용으로는 열에 의한 수축, 안창 파손, 가죽 손상, 스트랩(끈) 탄력성 상실 및 연결 부위 파손 등이었고, 설계 불량은 스트랩(끈) 길이 상이, 신발 좌우 크기 비대칭 등이 많았다.

그밖에도 여름용 신발의 착화 환경, 소재 특성 등으로 인해 장식 등의 부소재 탈락, 수분 접촉이나 접착용액 용출 등에 따른 소재 변색 등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관리 부주의 시, 여름용 신발 수명 단축

한편, 관리 부주의로 판단된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물에 노출된 신발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은 채 보관하여 악취 발생 ▲이물질이 묻은 신발을 그대로 보관하여 갑피 변색 ▲신발 소재 특성상 수분과 접촉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천 시 등에 착화하여 이염이 발생한 경우 등이 있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여름용 신발의 경우 겉창·안창 등의 소재, 착화 및 보관 환경 등을 고려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소비자불만사항 분석·공유를 통한 제품 품질 개선 유도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신발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결과 품질하자로 판단된 사례를 추가로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신발 제조·판매업체 및 세탁업체와 공유함으로써, 제품 품질 개선 및 세탁방법 고도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에 기여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소비자 친화적인 경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8-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여름용 신발 품질하자 ‘내구성 불량’이 가장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31 35
4579 여름의류, 물놀이기구, 장난감 등 50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20
4578 여름철 30~40대 여성…빈혈 주의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9 69
4577 여름철 고온 다습한 날씨에 곰팡이독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7 16
4576 여름철 냉면.콩국수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5 96
4575 여름철 농.축.수산물 위생 취약분야 안전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1 11
4574 여름철 농산물 안심하고 드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4 169
4573 여름철 농식품 정보는‘소비공감’에게 물어보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5 78
4572 여름철 많은「감염성 장염」, 겨울철에도 주의요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6 61
4571 여름철 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105
4570 여름철 맞아 ‘에어컨’, ‘호텔·펜션’상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16 55
4569 여름철 모기기피제.제모제, 올바르게 사용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7 30
4568 여름철 물놀이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4 42
4567 여름철 벌레.곰팡이 이물 혼입 예방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3 7
4566 여름철 비브리오패혈증 감염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2 86
Board Pagination Prev 1 ...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