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 급격한 증가세 지속
- 33주(8월 12일~18일) 의사환자 분율 41.3명(외래환자 1,000명당)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166.5%
- 특히, 0~6세에서 높음(의사환자 분율 : 0~6세 124.7명, 7~19세 69.3명, 20세 이상 31.2명)
◇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씻지 않은 손으로 눈 만지지 않기
◇ 유행성각결막염 의심증상 시에는 의료기관 진료 받고, 타인 접촉하지 않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안과감염병 표본감시* 결과,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이 최근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유행성각결막염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전국 92개 안과의원을 대상으로 하는 유행성각결막염 및 급성출혈성결막염 표본감시

○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은 2018년 33주(8월 12일~18일) 41.3명(외래환자 1,000명당)으로 전년 동기간(33주 24.8명) 대비 166.5% 이며, 30주(7월 22일~28일) 이후 지속적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2018년 의사환자 분율 : 30주 24.9명 → 31주 28.5명 → 32주 32.4명 → 33주 41.3명
* 2017년 의사환자 분율 : 30주 23.3명 → 31주 22.4명 → 32주 25.4명 → 33주 24.8명
*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 분율(‰) =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수/ 외래환자수) x 1,000

○ 33주의 연령별 의사환자 분율은 0~6세가 124.7명(외래환자 1,000명)으로 가장 높았고, 7~19세 69.3명, 20세 이상이 31.2명이었다.

□ 유행성각결막염은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되며, 매년 가을까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단체생활을 하는 시설에서는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를 생활화하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과 얼굴을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단체생활을 하는 시설에서는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용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아야한다.

< 유행성각결막염 감염예방 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눈이나 얼굴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기
♣ 수건이나 베개, 담요,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기

□ 질병관리본부는 유행성각결막염 예방을 위해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으며, 의심증상 발생 시에는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어린이는 완치 시까지 등원을 제한하는 등 타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8-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32 이물질 혼입된 오타야 제과 솜사탕 모양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23.04.05
3131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10.17
3130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식품(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10.17
3129 이물질 혼입된 에자키글리코 레토르트 돈부리(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0.17
3128 이물질 혼입된 Great Value 와플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6.07
3127 이물질 혼입된 ARENA 스포츠 타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30
3126 이물질 혼입 위험있는 KUOS 탄산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2.02.09
3125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마루코메 미소 된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5.13
3124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Tesco 소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19
3123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Tartex 시금치 잣 스프레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20
3122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Saveurs & Fruits 체리 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4.16
3121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Patak's 가지 피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16
3120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Dripak 소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19
3119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Bandai 초콜릿(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5.27
3118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Bandai 초콜릿(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27
3117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Ambrosia 커스터드 크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4.03
3116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Alnatura 시금치 호두 스프레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2.20
3115 이물질 혼입 가능성으로 질식 위험이 있는 Kuhne 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2.02.11
3114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호박씨오일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2.15
3113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마루코메 즉석 미소국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1.03.17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