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운전면허 없이 레이싱을 체험할 수 있어 관광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카트체험장*의 안전관리가 미흡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철재프레임으로 제작된 낮은 차체에 4개의 바퀴, 엔진, 브레이크 등 주행·정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장치로 구성된 카트(Kart)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행로를 주행하는 육상레저스포츠시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국(서울·경기·강원·충남·경북·전남·제주) 카트체험장 20개소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 안전장비·시설 미흡해 안전사고 위험 높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13.1.1.~’18.5.31.)된 카트 관련 위해사례는 총 35건이며, ‘사망’(5건)**, ‘골절’(2건) 등 심각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해외 발생 위해사례

이에 전국에 설치된 카트체험장을 대상으로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20개소 중 19개소(95.0%)는 카트 속도기준(30km/h이하)* 초과, 18개소(90.0%)는 주행로 외곽 방호벽 결속 불량, 5개소(25.0%)는 주행로가 깨져있거나 갈라져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40조(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등) 제1항 [별표 11]

또한, 12개소(60.0%)는 카트 주행 중 충돌·전복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19개소(95.0%)는 카트 바퀴 등에 안전덮개가 없어 사망* 등 심각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그러나 국내에는 관련 안전장비 구비, 이용자 안전교육 실시 등의 규정이 없어 개선이 필요하다.

* (해외사례) 카트 체험 중 이용자 머리카락이 뒷바퀴에 엉켜 두피 벗겨짐으로 사망(’18.2)


[ 카트체험장 안전실태조사 주요 결과 ]

                                                                                                                             [단위 : 개소, (%)]

카트 속도기준 초과

주행로 외곽 방호벽 결속 불량

주행로 깨짐·갈라짐

브레이크 고장

19(95.0)

18(90.0)

5(25.0)

1(5.0)

이용자 안전교육

미실시

안전벨트 미설치

안전장비미제공·착용

미안내

카트 회전·가열 부품 안전덮개 미설치

8(40.0)

12(60.0)

11(55.0)

19(95.0)


◎ 카트체험장 등 육상레저스포츠시설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에서는 30km/h 이하로 주행로를 주행하는 카트 및 카트체험장만 안전성검사 대상 유기기구·시설로 분류하고 있어 카트 속도가 30km/h 이상인 경우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짐에도 유원시설업으로 허가 받지 않아도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조사대상 20개 체험장은 대부분 카트 속도가 30km/h 이상으로 전업체가 유원시설업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트체험장을 임야 등에 설치하고 「관광진흥법」외 다른 법으로 인허가를 취득하는 경우에도 유원시설업 허가를 받지 않고 운영할 수 있어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40조(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안전성검사 등) 제1항 [별표 11]

** ’18.1.1. 기준 유원시설업 현황(문화체육관광부)과 조사대상 카트체험장 대조 확인

한편, 육상레저스포츠시설 안전 등의 내용을 포함한 법안(「레저스포츠 진흥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 한선교의원 대표발의, ’16.10.26.)이 발의됐으나 현재 국회에 계류 중으로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조속한 국회통과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체육관광부에 ▲카트·카트체험장 안전 관리·감독 강화 ▲카트·카트체험장 관련 안전기준 강화 ▲육상레저스포츠 관련 법규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29 Arctic Cat Wildcat ATV, 배기가스 열에 의한 화재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8.07.19
3428 Now Foods 비타민 영양제(Vitamin A 25,000 IU from Fish Liver Oil), 간 독성 초래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8.07.19
3427 Jil Sander 향수(SUN - JIL SANDER SHAKE, EAU DE TOILETTE NATURAL SPRAY VAPORISATEUR), 알러지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1 2018.07.19
3426 Christina 세럼 화장품(Forever Young (Absolute Fix - Expression-Line Reducing Serum)), 접촉성 피부염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0 2018.07.19
3425 Eternal ink 문신잉크(Cocoa Bean),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7.19
3424 Ziyad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9 2018.07.19
3423 Merrick Pet Care 사료, 고농도 소고기 갑상선 호르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18.07.19
3422 Trotec 전류전압계(BE48), 감전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8.07.19
3421 Creatology 회전 장난감(Pottery Wheel, Spin Art), 내부 배선 과열로 화재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8.07.19
3420 Little Joe 차량용 방향제(Green Tea),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8.07.19
3419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18.07.19
3418 수족구병 발생 지속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18.07.23
3417 민원24 민원안내 도용 스팸문자(스미싱)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8.07.23
3416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18.07.23
3415 휴가철 숙박, 여행, 항공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18.07.25
3414 2018년 2/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7.25
3413 주식,선물 거래를 가장한 도박형 사기 사이트 주의! - 소비자경보“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8.07.27
3412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7.27
3411 여름의 끝 8월에는 어떤 재난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7.27
3410 “안전요원이 안 보이는 물놀이장은 불안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7.30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