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창작자의 음악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저작권법 시행령 제11조 개정안이 2018823()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 (공연권) 저작물 또는 실연·음반·방송을 상연·연주·가창·구연·낭독 재생 그 밖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할 권리(<저작권법> 2조 제3)

 

  저작권법 제29조 제2항에 따르면 반대급부를 받지 않고 상업용 음반 또는 영상물을 공연할 경우에는 저작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시행령 제11조에서 규정한 시설(업종)에 한해 권리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내 권리자와 학계에서는 공연권을 원칙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해외 입법례에 비추어 국내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해달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문체부는 이러한 의견을 반영하여 음악사용 실태조사 및 경제적 분석(’16. 10.~’17. 2.), 이해관계자 대상 의견수렴(’17. 3.~’17. 8.) 등을 통해 창작자의 권익 강화를 위해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하는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이 개정안은 올해 823일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기존 시행령 제11조는 단란·유흥주점,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의 공연에만 저작재산권자의 이용허락을 받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번 개정안 시행으로 커피전문점 등 비알코올음료점, 생맥주 전문점 및 기타 주점, 체력단련장, 복합쇼핑몰 및 그 밖의 대규모 점포(전통시장 제외)까지 저작재산권자의 공연권 행사 범위가 확대된다.

 

  다만, 소상공인 등 시장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50(15) 미만 소규모 영업장은 공연권료(공연사용료 + 공연보상금) 납부 대상에서 제외했는데, 국내 음료·주점업의 경우 약 40%가 이에 해당하여 공연권료 납부 의무가 면제된다. 또한, 공연권료는 업종 및 면적별로 차등 지급*하도록 하였다.

* 음료점업 및 주점 월 4,000~20,000, 체력단련장 월 11,400~59,600원 수준

 

  문체부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한국음반산업협회, 저작권단체연합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공연권료 납부 대상 확대와 관련하여 제도가 시행 초기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특히, 공연권료 신규 납부 영업장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연권료 납부 의무 및 방식 등에 대한 안내 설명서(리플릿)를 영업장에 단계적으로 배포하고,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9. 3., 1차 설명회 개최, 한국저작권위원회)

 

  또한, 자신의 영업장이 납부 대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안내 누리집* 제작하고, 각 단체별로 담당자를 지정하는 등 안내창구**를 마련했으며, 공연권료 납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문체부가 지정한 통합징수단체가 공연권료를 일괄 징수하는 통합징수제도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한국저작권위원회 디지털거래소 누리집(https://www.kdce.or.kr, ’18823일부터 게재)

** 신탁관리단체 공연권료 납부 안내처

 

신탁관리단체

사무실 번호

누리집

() 한국음악저작권협회(사용료)

02-2660-0532~4

www.komca.or.kr

() 함께하는음악저작인협회(사용료)

02-333-8766

www.koscap.or.kr

()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보상금)

02-2659-6947

www.fkmp.kr

() 한국음반산업협회(보상금)

02-3270-5956

www.riak.or.kr

 

  문체부는 향후 제도 시행 추이를 지켜보면서 지속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제도를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사례1] 영업허가면적 50미만, 커피전문점, 생맥주전문점, 체력단력장이 음악을 트는 경우

  - 공연권료 납부의무 없음.

 

[사례2] 영업허가면적 80, 커피전문점 A에서 매장음악서비스, 시디(CD) 또는 음원을 사용하는 경우

  - 면적 50~100사이에 해당, 매월 총4,000원을 통합징수단체*에 납부

* 문체부가 지정한 매장음악서비스사업자(매장음악서비스 사용 시) 또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서비스 미사용 시)

 

[사례3] 영업허가면적 150, 체력단련장 B에서 매장음악서비스, 시디(CD) 또는 음원을 사용하는 경우

  - 면적 100~200사이에 해당, 매월 11,400원을 통합징수단체에 납부

 

 


[ 문화체육관광부 2018-08-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95 수강하지 않은 외국어, 자격시험 온라인 강의료 돌려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1 12
5794 수급가구 내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는 20대 미혼청년도 주거급여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9 28
5793 수급자 본인 신분증만 제시하면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5 56
5792 수능 끝, 체험활동으로 내 안에 숨겨진 재능을 깨워보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0 7
5791 수능 마친 예비 사회초년생을 위한 맞춤형 소비자교육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39
5790 수능 이후 100일간 무면허 렌터카 불법 대여 특별점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2 18
5789 수능 이후 청소년을 위한 진로탐색, 마음치유 프로그램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6 19
5788 수능 피로, 다양한 문화생활로 날리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6 8
5787 수능마케팅..."기억력 개선, 피로회복 등" 허위.과장광고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26 11
5786 수능시험 응시료 납부·환불신청 쉽고 편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0 58
5785 수능원서용(여권용) 사진으로 운전면허증 만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1 118
5784 수도권 3개 자치단체장,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합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05 127
5783 수도권 공항버스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15 90
5782 수도권 광역급행전철로 출·퇴근 길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26 40
5781 수도권 광역버스, 더 알뜰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0 16
Board Pagination Prev 1 ...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