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름 휴가철 해수욕장 해파리 쏘임 피해 예방에 드론이 본격 활용되고 있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원장 심재현)은 여름철 해수욕장 등에서 해파리 쏘임으로 인한 물놀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독성 해파리 출현 여부를 감시하고 연안에서의 활동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작년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드론을 이용한 안전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강독성 해파리 출현 여부를 중점적으로 관찰하여 대비하고 있다.
*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위한 드론 활용 시범사업(울산해양경찰서·울산시 협업)

올해는 매년 20만 명 이상이 찾는 울산 주전몽돌해변에서 피서객이 집중되는 시기인 8월 1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하였다.

매일 시간대별로 2~5회씩 고해상도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을 띄워 해파리 출현 위치와 시간대, 개체 수 및 분포 현황 등을 탐지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해파리 출현 정보를 울산시와 해수욕장 관리기관에 실시간 전파함으로써 해파리 쏘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3년간 여름 휴가철(7~8월) 강독성 해파리 출현율은 약 21.7%로 물놀이 이용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 참고: 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정보시스템(www.nifs.go.kr/jelly/main.jely)

특히, 울산 연안은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의 출현 밀도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강독성 해파리에 쏘이지 않도록 이용객의 주의와 해수욕장의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강독성 해파리는 촉수에 닿으면 부종, 발열, 근육마비, 호흡 곤란, 쇼크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인체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재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여름철 해파리 피해 방지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해변 안전지대 분석 및 영상기반 해파리식별·탐지 자동화 등 관련 기술보급에도 앞장설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담당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정군식 연구관(052-928-8270)

 

[행정안전부 2018-08-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52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가정용 와플 메이커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2.10
3351 접지 불량 및 접지 단자 고정장치 미흡으로 감전 위험이 있는 DC전원공급장치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2.10
3350 해외 증권시장 상장시 고수익 등을 미끼로 해외 비상장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투자사기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23.02.10
3349 ‘유명 연예인‘을 내세우면서, ‘플랫폼, NFT 투자‘ 등을 통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는 불법 자금모집 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3.02.09
3348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2.09
3347 정책자금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3.02.08
3346 투어2000(㈜투어이천)의 일방적 계약해제로 인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3.02.07
3345 빈끌로 / VINCUL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23.02.07
3344 피규어세상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07
3343 호랑이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3.02.07
3342 현대플라자 / HYPLAZ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2.07
3341 애슬리트/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1.31
3340 가정용 화목보일러, 주변 가연물로 인한 화재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1.26
3339 휴대폰 텔레마케팅 사기판매 이용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23.01.25
3338 남성의류 쇼핑몰 매니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1.20
3337 감전 위험이 있고 전기 설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Algam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3.01.17
3336 부력 조절 실패하여 부상 및 사망 위험 있는 Apeks 다이빙 부력자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3.01.17
3335 절연체 열화로 전류 흐를 수 있는 Zojirushi 전기 조리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3.01.17
3334 라벨 미표기 성분(대두) 함유해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PBco 비건 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3.01.17
3333 감전 위험이 있는 컵워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3.01.17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