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수질검사 실시 주체 불명확하고 검사주기 길어 -


매년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워터파크는 특히 성수기인 여름철에 피부질환 등의 위해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수질관리가 중요하다.

최근 3년간(`15년~`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워터파크 수질 관련 위해사례는 총 36건이며, 수질의 안전성 검증이 시급하다는 국민제안**도 접수된 바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안전 확보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분야의 실태조사를 국민이 한국소비자원에 직접 제안하는 ‘사업과제 대국민 공모’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국내 워터파크 4곳(캐리비안베이, 오션월드, 웅진플레이도시, 롯데워터파크)*을 대상으로 수질 안전실태를 조사했다.

* 2017 세계테마엔터테인먼트협회(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TEA)가 발표한 워터파크(아시아) 입장객 수 기준 상위 20개 업체 중 국내 업체

◎ 현행 수질 유지기준에는 적합하나 해외 기준에는 부적합

조사대상 워터파크 4곳 모두 현행 국내 수질 유지기준(유리잔류염소, 수소이온농도, 탁도,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대장균군)*에는 적합했으나, 미국ㆍWHO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합잔류염소의 유지기준(0.2㎎/L 이하)에는 부적합했다.

*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39조의2(물놀이형 유원시설업자의 안전·위생기준)

소독제인 염소와 이용객의 땀·오줌, 기타 유기오염물이 결합해 형성되는 결합잔류염소는 물 교체주기가 길고 이용자가 많을수록 수치가 높아져 눈·피부 통증이나 호흡기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미국·영국·WHO 등에서는 수질검사항목에 결합잔류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등 보다 엄격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검사항목을 추가하는 등 국제적 수준으로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워터파크 수질 안전실태 조사 결과 ]

업체명/시설항목(기준)

캐리비안베이*

오션월드

웅진플레이도시

롯데워터파크

실내유아풀

실내유수풀

실내유아풀

실내유수풀

실내유아풀

실내유수풀

실내유아풀

실내유수풀

국내기준

유리잔류염소0.4/L

2.0/L(오존소독 시

0.2/L 이상)

1.39 (적합)

1.04 (적합)

0.83 (적합)

0.43 (적합)

0.79 (적합)

1.05 (적합)

1.61 (적합)

0.83 (적합)

수소이온농도(pH)

(5.88.6)

6.2 (적합)

6.3 (적합)

6.5 (적합)

6.5 (적합)

6.0 (적합)

6.4 (적합)

6.4 (적합)

6.2 (적합)

탁도(2.8NTU**)

0.43 (적합)

0.55 (적합)

0.29 (적합)

0.53 (적합)

0.31 (적합)

0.77 (적합)

0.21 (적합)

0.76 (적합)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15/L 이하)

2.6 (적합)

1.4 (적합)

0.9 (적합)

2.2 (적합)

1.2 (적합)

4.2 (적합)

10.6 (적합)

10.3 (적합)

대장균군(10시료

5개 중
양성 2개 이하)

0 (적합)

0 (적합)

0 (적합)

0 (적합)

0 (적합)

0 (적합)

0 (적합)

0 (적합)

미국·
WHO

기준

결합잔류염소(0.2/L

이하)

0.56 (부적합)

0.26 (부적합)

0.32 (부적합)

0.25 (부적합)

0.39 (부적합)

0.39 (부적합)

0.22 (부적합)

0.64

(부적합) 

* 오존소독 처리함. ** 물의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NTU : Nephelometric Turbidity Unit)

◎ 수질검사 실시 주체 불명확하고 검사주기 길어

「관광진흥법 시행규칙」 제39조의2에서는 ‘워터파크 사업자’가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제4조 제2항(이하 「먹는물 규칙」)에 따라 수질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는 반면, 「먹는물 규칙」에서는 ‘시ㆍ군ㆍ구청장’이 수질검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관련 법규에서 수질검사 실시 주체를 상이하게 규정하고 있어 현재는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바, 검사 주체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또한, 바닥분수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운영기간 중 15일마다 1회 이상 수질검사를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매년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워터파크의 경우 검사항목별로 1년 또는 1분기에 1회 이상 실시**하도록 해 검사주기 단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89조의3

**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제4조 제2항
(전 항목 : 매년 1회 이상/ 일부 항목(대장균군·과망간산칼륨 소비량 등) : 매분기 1회 이상)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물놀이형 유원시설’(워터파크)의 ▲검사항목 추가 등 수질 유지기준 강화 ▲수질검사 실시 주체 명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8-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85 번호판 영치·무단방치·불법개조 없는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 함께 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8
4684 식물성 대체육, 콜레스테롤이 없고 소고기 패티보다 단백질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9 58
4683 BMW MINI, 포드, 스카니아, 다임러트럭, 혼다 리콜실시(총 6개 차종 9,120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5.02 59
4682 6월 자동차세부터 신용카드로 자동납부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59
4681 국민안전처, 3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3 59
4680 계란 수급관련 유통현황 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59
4679 부동산 P2P 대출상품,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5 59
4678 질병관리본부, 비브리오패혈증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5 59
4677 4월부터 ELS 등에 투자시 숙려제도가 시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9 59
4676 국산 접목선인장! 우리나라에서 미리 관리 받고 3개월 먼저 호주 소비자 품으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9 59
4675 젊은 여성을 표적으로 하는 보이스피싱 급증, 소비자경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9
4674 식약처, 유사 식품원료 22종 유전자 분석법 개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7 59
4673 식약처, 정부차원의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 유해성분 함유량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9
4672 17년 5월부터는 신차(新車) 할부금융을 이용하더라도 신용등급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7 59
4671 랜덤박스 주의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9
Board Pagination Prev 1 ...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