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프리카 DR콩고 에볼라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 국내 유입 대비 에볼라 발생지역 출입국자 검역 강화 -

◇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대규모 유행했던 에볼라,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재발
- 콩고민주공화국 여행객, 귀국 후 검역 시 건강상태질문서 반드시 제출
- 귀국 후 21일 이내 의심증상(발열 등) 발생 시 1339콜센터로 신고해야
◇ 여행 시 박쥐, 동물사체, 의심환자 접촉금지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7월 30일(월) 아프리카 콩고민주 공화국(이하DR콩고)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국민들에게 DR콩고 방문 시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는 한편, 에볼라의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비하여 DR콩고 출입국자 검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보건부는 7월 30일 자국 내 북동부에 위치한 북키부 주(North Kivu Province) 망기나(Mangina)* 지역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확진환자 4명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망기나(Mangina)*에서 5월 11일부터 7월 27일까지 원인불명의 출혈열 의심환자 26명이 발생하고 20명이 사망하였고, 콩고민주공화국 보건부가 실시한 의심환자 6명 중 4명의 검체에서 에볼라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 세계보건기구(WHO)와 콩고민주공화국 보건부는 지난 2017년 및 2018년 5월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발생에 대한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국가‧기관과 협력하여 환자발생 지역에 대응팀을 현지 파견했다고 밝혔다.
* 이번 유행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발생한 10번 째 유행으로, 가장 최근에는 ’18년 4월 4일부터 7월 24일까지 에콰테르(Equateaur) 주 3개 지역(Bikoro, Iboko, Wangata)에서 환자 54명(사망 33명)이 발생함.
** 현재, 지난 에콰테르(Equateaur) 주에서 발생한 유행과의 연관성은 확인된 바 없음.

□에볼라바이러스병은 필로바이러스과(FamilyFiloviridae) 에볼라바이러스속 (Genus Ebola virus)에 속하는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2-21일(평균 8-10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복통, 설사, 출혈 등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 에볼라바이러스는 감염된 동물 섭취 및 체액 접촉, 환자 및 사망자와의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해,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발생지역 방문시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여행 시 주의사항
­ 여행 전,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확인
­ 유행지역에서 박쥐, 영장류(원숭이, 오랑우탄, 침팬지, 고릴라 등) 및 동물 사체와 접촉금지 및 이들의 야생고기를 다루거나 먹지 않기
­ 에볼라바이러스병 (의심)환자와의 접촉 금지
◈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지역 여행 후 주의사항
­ 귀국 후 21일 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이 있을 시, 1339 또는 보건소로 먼저 신고
­ 귀국 후 검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 질병관리본부는 에볼라바이러스병의 국내 유입에 대비하기 위해 발생지역 출입국자에 대한 검역과 의심환자 초동 대응을 강화한다.
○ 콩고민주공화국 방문자를 대상으로 현지 도착 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문자(외교영사콜)를 발송하고, 귀국 시에는 주기장 게이트에서 발생지역 방문여부 확인과 발생지역 입국자 대상으로 1:1 개인별 체온 측정 및 건강상태질문서를 징구한다.
- 귀국 후 21일 이내에 발열, 복통 등 증상 발현 시 ☏ 1339(질병관리본부 콜센터) 문의 또는 보건소로 신고하도록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일선 의료기관에는 해당 입국자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 또한, 의심환자 발생 신고 시 역학조사관 현장출동, 확진환자 발생 대비 즉각대응팀 투입을 준비하고, 확진검사를 위해 생물안전실험실 (Biosafety Level 4, BL4)* 운용을 점검하며, 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국가지정격리병상 운영 및 이송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BL4시설은 에볼라 등 치명적 질병을 일으키는 고위험병원체를 취급할 수 있는 최고등급의 생물안전 연구시설로 세계적으로 16개국만이 BL4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도 일본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만이 구축하여 운영



[ 질병관리본부 KCDC 2018-08-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53 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등을 가장한 보이스피싱 주의(소비자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08
2252 소비자원-서울시, 주식리딩방 소비자피해예방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11.11
2251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9.15
2250 소비자원-국표원 「유모차 영유아 끼임 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3.02.15
2249 소비자원-가스안전공사, 헬륨가스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10.28
2248 소비자경보_해외여행시 카드 도난분실, 위변조 등으로 인한 피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16
2247 소비기한이 미표시된 FritoLay 팝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5.10
2246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4
2245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5 2022.12.14
2244 소비기한 미표시된 Munchy's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5.07
2243 소규모 수도시설 이용할 때 노로바이러스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3.12.21
2242 소규모 관광숙박 시설의 안전기준 더욱 강화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8.12.20
2241 셀프주유소에서 카드결제 시 한도초과로 인한 초과결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3.05
2240 센트베리-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7.04
2239 세탁기 장기사용제품 화재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0.20
2238 세인트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5.04
2237 세이펜, 고속충전 시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4 2016.12.13
2236 세이브전시몰 / 세이브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8.01
2235 세균에 오염된 Creathek 물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10.07
2234 세균 함유한 액체가 새어나올 위험이 있는 공룡 스퀴시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2.07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