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휴가 절정기, 안전수칙 지켜 안전하게 보내세요
-주간(8.5.~8.11.)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여름휴가가 절정에 이르면서 국민들께 물놀이 등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특히, 올해는 7월초부터 시작된 폭염이 장기화 되면서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 연도별 현황: 2016년 2,125명, 2017년 1,574명, 2018.7.28. 현재 2,042명

물놀이 인명피해는 휴가가 절정에 이르는 8월 초순에 4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다슬기를 잡다가 발생하는 사고*도 급증하고 있다.
* 연도별 현황: 2016년 32명, 2017년 20명, 2018.7.29. 현재 21명

또한, 식중독은 고온 다습한 환경 등으로 8월에 사고 발생 건수(197건)와 환자수(7,506명)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한 여름휴가를 위해 지켜야 하는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폭염>

폭염 속 한낮의 무더위 시간에는 등산, 물놀이 등의 야외활동을 삼가고, 평소보다 물을 더 자주 마시고 충분히 휴식한다.

더운 날씨에 현기증, 두통, 구토, 근육경련 등의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하고, 증세가 지속되면 병원으로 가야 한다.


< 물놀이 >

물놀이 위험지역이나 금지구역에는 절대 출입하지 말고, 한적한 곳 보다 위급 상황에서 안전요원 등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소가 좋다.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질 때는 즉시 물 밖으로 나와 몸을 따뜻하게 하고, 특히 음주 후에는 절대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어린이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히고, 물가에 아이들끼리 두지 않는 등 항상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곳에서 놀게 한다.

아울러, 다슬기를 채취하는 경우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혼자 보다는 2인 이상 조를 이뤄서 함께 가도록 한다.

특히, 다슬기 채취망에는 물에 잘 뜨는 고무공이나 스티로폼 등을 달아 사고를 예방한다.

<식중독>

고온다습한 날씨에 음식물이나 식재료를 실온에 두면 쉽게 상하기 쉬우니 반드시 냉장 보관하고 가급적 빨리 섭취한다.

식중독 예방을 위한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를 철저히 지킨다.


지만석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장은 “휴가철 들뜬 마음에 자칫 안전에 소홀하기 쉬우니,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잘 지켜주시고, 특히 지속되는 폭염에 개인위생과 건강관리에 각별히 주의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8-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10 카드뮴 과다 함유해 사용자의 건강 위험 있는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309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3308 건강식품 관련 소비자피해 전년 동기대비 48.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9.07
3307 유통기한 오표기되어 섭취시 위험 있는 Other seasonings and soups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8.25
3306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30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영양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304 알레르기 유발물질(우유) 미표시한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303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8
3302 2022년 하반기 농지불법전용 교차 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0.06
3301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는 마르코메 구이용 된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0.17
3300 포장 비닐 얇아 질식 위험 있는문어 태엽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0.18
3299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0.18
3298 벤젠 검출 가능성 있는 Dove 드라이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2.15
3297 사용 중 고장으로 교통사고 위험 있는 스쿠터용 Continental 타이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4.24
3296 미역·다시마 등 해조류는 방사능 체내 배출 효과와 관련 없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8.30
3295 벤조피렌 초과 검출된 ‘해바라기씨유’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09.20
3294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0.24
3293 감전 위험이 있는 Miami Carry On 여행용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3.12.19
3292 경영인정기보험 관련 불완전판매 우려 및 불건전 영업행위에 대한 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4.17
329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7.14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