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속되는 폭염, 수인성ᐧ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 국내외 여행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대한 예방수칙 준수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및 설사 등의 증상시 검역관에게 신고귀가 후 증상 발현 시 1339로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연일 35도가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휴가철 국내외 여행 등 여가 및 단체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물과 식품으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여름철은 비브리오패혈증, 캄필로박터,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의 병원균 증식의 적합한 환경으로, 이러한 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할 때 감염병 발생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감시결과, 캄필로박터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 발생이 증가 추세이며, 2인 이상의 사례가 발생한 집단 건수도 작년 대비 증가하였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➁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➂ 물은 끓여 마시기

➃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➄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➅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도마 조리 후 소독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 사용 등


 

 

□ 여름철 해수 온도가 상승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과 같은 비브리오증이 증가할 수 있으며, 간에 질환이 있거나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해산물 섭취 및 취급에 주의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바닷물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알코올중독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 올해 들어 필리핀 등을 여행한 후 발생한 해외유입 세균성이질 및 장티푸스가 전년대비 약 270% 증가하여, 해외여행 시 1군감염병을 포함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특히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은 친지, 가족 등과 함께 단체여행을 다녀오는 경우가 많아 집단발생사례로 이어질 수 있어,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2017-2018 제1군 감염병 발생현황 >

구분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2017








73 



47 



26 



36 



24 



12 



61 



18 



43 



72 



63 





3,075 



3,063 



12 



2018









193 



88



105 



33 



30 





154 



40 



114 



88 



77 



11 



1,622



1,619 



3


 

 

※ 2018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 해외여행객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➀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➁ 음식 익혀먹기

➂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➃ 길거리 음식 먹기 않기

➄ 과일채소는 먹기 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먹기

 

 ○ 입국 시, 발열,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검사를 받고, 결과 통보 시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자제하도록하며

 ○ 입국 후 발열, 설사, 복통과 같은 장관감염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도록 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신고하도록 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속된 폭염으로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우려로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물과 음식을 먹고 마실 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11 유명 패션 브랜드 ‘아미(ami)’ 사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1.05.27
3010 유명 아이돌그룹 굿즈 판매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02.04
3009 유명 선글라스 브랜드 ‘레이밴’ 사칭 사이트 거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0.06.29
3008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2.23
3007 유명 브랜드 가품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시크타임(Chic-Time)”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0.23
3006 유리파편 혼입되어 부상 위험 있는 Parsons Pickles 홍합절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07.19
3005 유리조각이 혼입된 ‘혼합음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0 2017.07.24
3004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Weleda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6.24
3003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4)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0.12.07
3002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 2020.12.07
3001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0.12.07
3000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Miss Vickie’s 과자 판매차단 (3)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0.12.07
2999 유리용기 파손으로 인해 부상 위험 있는 앰플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7.13
2998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치킨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 2023.12.19
2997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야채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12.19
2996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쇠고기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3.12.18
2995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맑은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3.12.19
2994 유리 주전자,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3.29
2993 유리 이물질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VITAM 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1.05.26
2992 유리 이물질 혼입된 La Bio Idea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2 2021.06.02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