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속되는 폭염, 수인성ᐧ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 국내외 여행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에 대한 예방수칙 준수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안전한 물과 음식섭취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외여행 후 입국 시 발열 및 설사 등의 증상시 검역관에게 신고귀가 후 증상 발현 시 1339로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연일 35도가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휴가철 국내외 여행 등 여가 및 단체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물과 식품으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여름철은 비브리오패혈증, 캄필로박터,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의 병원균 증식의 적합한 환경으로, 이러한 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할 때 감염병 발생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감시결과, 캄필로박터균,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 발생이 증가 추세이며, 2인 이상의 사례가 발생한 집단 건수도 작년 대비 증가하였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➁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➂ 물은 끓여 마시기

➃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➄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➅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도마 조리 후 소독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 사용 등


 

 

□ 여름철 해수 온도가 상승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과 같은 비브리오증이 증가할 수 있으며, 간에 질환이 있거나 알콜중독,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해산물 섭취 및 취급에 주의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바닷물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알코올중독자당뇨병 등 만성질환자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악성종양재생불량성 빈혈백혈병 환자장기이식환자면역결핍 환자

 

 

□ 올해 들어 필리핀 등을 여행한 후 발생한 해외유입 세균성이질 및 장티푸스가 전년대비 약 270% 증가하여, 해외여행 시 1군감염병을 포함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특히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은 친지, 가족 등과 함께 단체여행을 다녀오는 경우가 많아 집단발생사례로 이어질 수 있어,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2017-2018 제1군 감염병 발생현황 >

구분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2017








73 



47 



26 



36 



24 



12 



61 



18 



43 



72 



63 





3,075 



3,063 



12 



2018









193 



88



105 



33 



30 





154 



40 



114 



88 



77 



11 



1,622



1,619 



3


 

 

※ 2018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 해외여행객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➀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➁ 음식 익혀먹기

➂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➃ 길거리 음식 먹기 않기

➄ 과일채소는 먹기 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먹기

 

 ○ 입국 시, 발열,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검사를 받고, 결과 통보 시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자제하도록하며

 ○ 입국 후 발열, 설사, 복통과 같은 장관감염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도록 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신고하도록 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지속된 폭염으로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우려로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물과 음식을 먹고 마실 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8-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53 보일러․난로 사용 시 일산화탄소 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18
3352 으뜸전자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0.20
3351 성분 오표기된 CAC 아이브로우 펜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1.14
3350 포장 비닐로 인한 질식 위험이 있는 Aiditong 리틀 월드 장난감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08
3349 피부 부작용 위험 있어 리콜된 여성용 니플 테이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3
3348 아플라톡신B1 오염돼 건강 위험으로 리콜된 CLEARSPRING 쌀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4
3347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15
3346 오유어데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12.26
3345 슈즈오페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1.13
3344 취침용으로 부적합한 Ingenuity 바운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4.24
3343 트로판 알칼로이드 과다 함유한 Amisa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3
3342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8.08
3341 손가락 끼임 우려 있는 IRIS OHYAMA 써큘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9.07
3340 부품 불량으로 낙하 우려가 있는 천장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8.23
3339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8.23
3338 세균 오염 가능성으로 감염 위험 있는 Alterna 헤어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8.25
3337 트로판 알칼로이드(tropane alkaloid) 다량 검출된 나초(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9.27
3336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09.30
3335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0.17
3334 제품 구조상 기도 막아 질식 위험 있는 버섯 모양 영유아 치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0.18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