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장애인거주시설(전국 1,505개)의 촉탁의사 근무시간에 대한 구체적 규정이 없어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급되거나, 장애인거주시설, 노숙인시설, 정신요양시설 등 각 시설과 촉탁의사 간 표준협약서가 없어 촉탁의사의 업무범위가 불명확했던 문제점들이 개선된다.
 
※ 촉탁의사는 노인보건복지사업 안내 혹은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등에 따라 각 시설에서 입소자에게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운영하는 계약에 의한 의료인임.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국민권익위)는 복지시설 촉탁의사 운영상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장애인거주시설 등의 촉탁의사 운영 투명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보건복지부에 권고했다.
 
□ 정부는 장애인거주시설 등의 입소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촉탁의사를 지정·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거주시설 촉탁의사의 경우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에 ‘월 2회 이상 시설 방문’ 규정만 있고 근무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었다.
실제 촉탁의사가 시설에 월 1~2회 방문해 총 1~3시간만 근무하고 월정액 인건비(253만원) 전액을 받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 A시설의 촉탁의사는 월2회 방문, 60분 근무하고, 인건비(보조금) 253만원 수령
▪ B시설의 촉탁의사는 월2회 방문, 160분 근무하고, 인건비(보조금) 253만원 수령
▪ C시설의 촉탁의사는 해당시설에서 근무하지 않거나, 월1회 1시간 내외로 근무하고 연간 8,300만원의 인건비(보조금) 수령
▪ D시설의 촉탁의사는 월1회 방문, 1시간 내외 근무하고, 인건비(보조금) 253만원 수령
(‘17. 3. 권익위 실태조사)
 
일부 장애인거주시설, 노숙인시설 및 정신요양시설에서 촉탁의사와 업무협약 시 표준협약서(계약서)가 없어 임의로 작성해 사용했다.
 
협약서가 있는 경우에도 근무기간, 근무시간 및 업무범위 등 주요내용이 빠져있거나 계약기간이 1∼2년, 자동연장 등 제각각이었다.
 
▪ A시설, B시설은 촉탁의사 업무협약서에 근무시간(출퇴근기록 미비 등), 진료기록부 작성 등 업무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진료기록부 미 작성 등으로 인해 시설입소자에 대한 지속적인 건강상태 관리 미흡
 
▪ 동일분야의 시설인 경우에도 지역마다 계약기간이 1년, 2년, 수년 동안 자동연장. 근무형태도 월 1회, 월 2회, 주 1회 등 제각각 임
(‘18. 5. 권익위 실태조사)
 
또 각 시설 현장에서 규정위반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데도 촉탁의사 업무에 대한 구체적 지도·점검 규정이 없어 대부분의 지자체는 촉탁의사의 업무 수행에 대한 적정한 지도·점검을 하지 않고 있었다.
▪ 지자체 담당공무원이 촉탁의사 근무에 대해 모르거나, 시설 지도·점검 시 촉탁의사 근무기록(간호사가 대신 기록) 부실, 실제 근무시간과 업무 등에 대한 파악 미비
(‘18. 5. 권익위 실태조사)
 
□ 이에 국민권익위는 장애인거주시설 촉탁의사에게 지급하는 월정액 급여를 고려해 구체적인 근무시간 기준을 마련하도록 했다.
 
또 장애인거주시설, 정신요양시설 및 노숙인시설과 촉탁의사 간 업무협약에 관한 표준서식을 마련하고 협약기간·근무시간·업무범위 등을 포함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촉탁의사의 근무상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점검 규정을 마련해 지자체가 촉탁의사의 근무상황에 대해 실질적인 지도·점검을 할 수 있도록 했다.
 
□ 국민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장애인거주시설, 정신요양시설, 노숙인시설 등 복지시설 촉탁의사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했던 인건비 과다지급, 근무상황에 대한 지도·점검 미흡 등을 개선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원활한 제공과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앞으로도 공공재원이 투입되는 각 분야의 부패유발 요인을 면밀히 분석해 지속적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붙임] 장애인·정신장애인·노숙인· 노인의료복지시설 촉탁의사 관련 비교
구분
장애인
거주시설
정신요양시설
노숙인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주거복지)
관련규정
「2018장애인복지시설사업안내」
 
「2018정신건강사업안내」
 
「2018년노숙인 등의 복지사업안내」
「2018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협약의료기관 및 촉탁의사 운영규정)」
촉탁의사
근무시간
월2회 이상
근무시간 없음
주1회 이상
(1회 8시간 이상)
월4회
(1일 8시간)
월2회 이상 진료
(1회 50명이내 진료 가능)
월인건비
2,536,000원
(국가보조금)
2,440,000원
(국가보조금)
2,372,400원
(국가보조금)
1회 50명 이내 진료비용
(국민건강보험)
입소대상
장애인
정신장애인
노숙인
장기요양
등급 노인
시설 수
(입소자 수)
(촉탁의 수)
1,505개
(약30,980명)
(347명)
59개
(약11,072명)
(58명)
77개
(약7,265명)
(17명)
3,286개
(약131,064명)
(2853명)




[ 국민권익위원회 2018-07-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15 더 낮은 혈압을 목표로 치료할 경우 노인고혈압 환자 사망률 32% 감소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9
5914 더 나은 공공자원 이용 서비스를 위한 설문에 참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9 13
5913 더 건강한 일상을 위한 여러분의 건강실천을 보여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24 21
5912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5 8
5911 대형유통업체의 반품행위 위법성 심사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0 35
5910 대형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유통거래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08 6
5909 대형생활폐기물 처리, 인공지능으로 더 편리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1 58
5908 대형병원, 중증환자 중심으로 확 바뀐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04 16
5907 대형마트3사, 옥시제품 전매장에서 철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91
5906 대형마트, 소비자와 손잡고 비닐봉투·과대포장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7 34
5905 대형마트 안전사고 10건 중 3건은 쇼핑카트 사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0 123
5904 대형마트 안전사고 10건 중 3건은 쇼핑카트 사고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1 141
5903 대형마트 상품경쟁력은 ‘코스트코’, 쇼핑편리성은 ‘이마트’가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1 149
5902 대형마트 등 PB 제품.인터넷을 통한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제품 제조.가공업체 기획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124
5901 대형마트 4개사의 부당한 표시광고에 대한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0 78
Board Pagination Prev 1 ...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