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 금년 온열질환자 2,042명(사망 27명 포함)으로 전년도 총 발생건(1,574명) 초과
◇ 8월 초·중순에 피크로 휴가철 야외 활동 시 주의 필요
◇ 실외작업(야외작업, 논밭일 등)은 물론 행락지(공원, 관광지, 산, 강/바닷가 등)에서도 주의해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여름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2,042명으로 ’17년 하절기 총 발생건수(1,574명)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 ’17년 온열질환감시 결과 : 온열질환자 총 1,574명(사망 11명)(’17.5.29~9.8)
* 온열질환감시체계 : 전국 응급실을 통한 온열질환자 표본감시(’18년 519개 기관 참여)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

○ 열사병에 따른 사망자는 27명으로, ’11년「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로 나타났다.

□ 올해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온열질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별로 온열질환 발생장소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온열질환 다빈도 발생장소 및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0~18세) 공원·행락지(강가/해변‧수영장 등) 39명(65%), 길가 10명(17%), 차안 4명(7%) 순
☞ 폭염 시 실외놀이터·공원에서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특히 아이들이 차안에 오래 있지 않도록 보호자 등 주의 필요
* 창문이 닫힌 자동차는 물론, 창문을 일부 연 경우에도 차안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주정차된 차안에 어린이등을 혼자 두지 않아야 함

○ (19~39세) 야외작업장 168명(38%), 길가 78명(18%), 공원·행락지(강가/해변, 골프장, 산 등) 59명(13%), 실내작업장 53명(12%) 순
☞ 실외활동 시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에서도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40~64세) 야외작업장 399명(43%), 길가 138명(15%), 실내작업장 93명(10%), 논‧밭 87명(9%), 공원·행락지(산, 공원, 강가/해변, 골프장 등) 83명(9%) 순
☞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외 작업 시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65세 이상) 길가 194명(32%), 논‧밭 151명(25%), 집안 117명(19%), 야외작업장 44명(7%) 순
☞ 노약자*는 체온조절기능이 약하여 온열질환에 더 취약하므로, 낮 시간대 실외활동을 더욱 자제하고, 집안에서도 건강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본인은 물론 보호자 관심 필요
☞ 폭염 시 일반적으로 뜨거운 열을 피하기 위하여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으나, 실내 냉방기기 사용이 어려운 경우 등에는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무더위 쉼터’(전국 약 4만5천여 개소)를 적극 활용
* 고령자와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신체적응능력이 낮아 폭염에 더 취약하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

□ 지난 한 주(7.22(일)~7.28(토)) 동안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907명, 이 중 사망자는 13명으로 계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 최근 5년간 온열질환자 발생 분석 결과, 8월 초‧중순에 온열질환자의 약 50%가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격 휴가철을 맞아 갑작스런 야외활동으로 열탈진 등 온열질환 급증이 염려된다고 지적하며,

- 관광, 수영, 등산 등 야외활동 중 햇빛을 최대한 피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등 건강관리에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39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2838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7.08
2837 디지털프라자 365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 2022.07.08
2836 스마트 도어록 선택 요령 및 사용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07.07
2835 다목적 세정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7.07
2834 형광램프 대체형 LED램프의 모든것! 두유노? LED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2.07.07
2833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에 의한 식중독 사고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7.06
2832 전자아울렛 / DIGITAL-ASOT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22.07.06
2831 여름철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7.05
2830 올바르고 안전한 우유 구입·보관·섭취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07.05
2829 주방세제, 처음부터 끝까지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7.05
2828 글로벌 OTA, 외국적 항공사 이용 시 소비자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7.04
2827 폭염특보 지역 확대, 온열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07.01
2826 헬스장·PT 계약 및 이용 연기 관련 소비자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2.06.27
2825 물기·습기 많은 장마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2.06.23
2824 해외서버 이용 국내 사기사이트 급증, 입금자명에 할인코드 입력 요구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2.06.23
2823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22.06.22
2822 영유아 노로바이러스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가, 여름철 보육시설 등 위생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2.06.20
2821 오폐수처리장.폐기물처리시설 작업 중 화재·폭발사고 증가에 따른 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6 2022.06.20
2820 화청 주식회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2.06.16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