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 금년 온열질환자 2,042명(사망 27명 포함)으로 전년도 총 발생건(1,574명) 초과
◇ 8월 초·중순에 피크로 휴가철 야외 활동 시 주의 필요
◇ 실외작업(야외작업, 논밭일 등)은 물론 행락지(공원, 관광지, 산, 강/바닷가 등)에서도 주의해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여름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2,042명으로 ’17년 하절기 총 발생건수(1,574명)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 ’17년 온열질환감시 결과 : 온열질환자 총 1,574명(사망 11명)(’17.5.29~9.8)
* 온열질환감시체계 : 전국 응급실을 통한 온열질환자 표본감시(’18년 519개 기관 참여)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

○ 열사병에 따른 사망자는 27명으로, ’11년「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로 나타났다.

□ 올해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온열질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별로 온열질환 발생장소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온열질환 다빈도 발생장소 및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0~18세) 공원·행락지(강가/해변‧수영장 등) 39명(65%), 길가 10명(17%), 차안 4명(7%) 순
☞ 폭염 시 실외놀이터·공원에서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특히 아이들이 차안에 오래 있지 않도록 보호자 등 주의 필요
* 창문이 닫힌 자동차는 물론, 창문을 일부 연 경우에도 차안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주정차된 차안에 어린이등을 혼자 두지 않아야 함

○ (19~39세) 야외작업장 168명(38%), 길가 78명(18%), 공원·행락지(강가/해변, 골프장, 산 등) 59명(13%), 실내작업장 53명(12%) 순
☞ 실외활동 시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에서도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40~64세) 야외작업장 399명(43%), 길가 138명(15%), 실내작업장 93명(10%), 논‧밭 87명(9%), 공원·행락지(산, 공원, 강가/해변, 골프장 등) 83명(9%) 순
☞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외 작업 시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65세 이상) 길가 194명(32%), 논‧밭 151명(25%), 집안 117명(19%), 야외작업장 44명(7%) 순
☞ 노약자*는 체온조절기능이 약하여 온열질환에 더 취약하므로, 낮 시간대 실외활동을 더욱 자제하고, 집안에서도 건강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본인은 물론 보호자 관심 필요
☞ 폭염 시 일반적으로 뜨거운 열을 피하기 위하여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으나, 실내 냉방기기 사용이 어려운 경우 등에는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무더위 쉼터’(전국 약 4만5천여 개소)를 적극 활용
* 고령자와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신체적응능력이 낮아 폭염에 더 취약하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

□ 지난 한 주(7.22(일)~7.28(토)) 동안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907명, 이 중 사망자는 13명으로 계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 최근 5년간 온열질환자 발생 분석 결과, 8월 초‧중순에 온열질환자의 약 50%가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격 휴가철을 맞아 갑작스런 야외활동으로 열탈진 등 온열질환 급증이 염려된다고 지적하며,

- 관광, 수영, 등산 등 야외활동 중 햇빛을 최대한 피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등 건강관리에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3 영유아 익사 사고 가능성이 있는 Babyway 유아용 목욕 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08.24
2892 영유아 시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23.02.14
2891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수칙 준수 및 위생관리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7.15
2890 영유아 노로바이러스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가, 여름철 보육시설 등 위생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2.06.20
2889 영어 라벨에 우유 성분 누락돼 알러지 위험 있는 Le Rustique 치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23.02.10
2888 영아용 조제분유, 구매 전 영양성분 꼼꼼히 살펴봐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26
2887 염화칼슘 수용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습기제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1.07.28
2886 염모제 폭발 사고에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7.02
2885 열대과일 '리치' 공복에 섭취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7
2884 연초에 많이 발생하는 카드발급, 연말정산, 합격문자 등 보이스피싱 사기 수법, 늘.꼭.또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4.01.03
2883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3 2018.07.19
2882 연일 계속되는 폭염, 온열질환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7.17
2881 연이은 폭염,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6 2018.08.09
2880 연안 안전사고 주의, 6~8월 가장 많이 발생(39%)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17.05.26
2879 연소 중 연료 공급 시 화염분사 현상 발생하는 Flikr Fire 개인용 화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2.13
2878 연말연시 강추위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12.30
2877 연말 연휴기간 직전 집중공시 관련 유의사항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12.21
2876 연료펌프 커버플레이트 변형 발생하는 현대자동차 투싼(LM) 차량, 기아자동차 스포티지(SL)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7 2022.01.03
2875 연료탱크 부식 현상 발생하는 올란도 LPG모델 차량 보증기간 연장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3.08.17
2874 연료 탱크 외부 정전기 방전으로 화재 위험 있는 Polaris ATV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2.13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