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온열질환자 작년 발생 초과, 휴가철 주의 당부

◇ 금년 온열질환자 2,042명(사망 27명 포함)으로 전년도 총 발생건(1,574명) 초과
◇ 8월 초·중순에 피크로 휴가철 야외 활동 시 주의 필요
◇ 실외작업(야외작업, 논밭일 등)은 물론 행락지(공원, 관광지, 산, 강/바닷가 등)에서도 주의해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여름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2,042명으로 ’17년 하절기 총 발생건수(1,574명)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 ’17년 온열질환감시 결과 : 온열질환자 총 1,574명(사망 11명)(’17.5.29~9.8)
* 온열질환감시체계 : 전국 응급실을 통한 온열질환자 표본감시(’18년 519개 기관 참여)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

○ 열사병에 따른 사망자는 27명으로, ’11년「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로 나타났다.

□ 올해 519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온열질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별로 온열질환 발생장소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온열질환 다빈도 발생장소 및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0~18세) 공원·행락지(강가/해변‧수영장 등) 39명(65%), 길가 10명(17%), 차안 4명(7%) 순
☞ 폭염 시 실외놀이터·공원에서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특히 아이들이 차안에 오래 있지 않도록 보호자 등 주의 필요
* 창문이 닫힌 자동차는 물론, 창문을 일부 연 경우에도 차안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주정차된 차안에 어린이등을 혼자 두지 않아야 함

○ (19~39세) 야외작업장 168명(38%), 길가 78명(18%), 공원·행락지(강가/해변, 골프장, 산 등) 59명(13%), 실내작업장 53명(12%) 순
☞ 실외활동 시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에서도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40~64세) 야외작업장 399명(43%), 길가 138명(15%), 실내작업장 93명(10%), 논‧밭 87명(9%), 공원·행락지(산, 공원, 강가/해변, 골프장 등) 83명(9%) 순
☞ 건강수칙을 준수하고 실내·외 작업 시 과도한 신체활동에 주의. 특히 휴가철을 맞아 행락지에서의 실외활동이 많으므로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

○ (65세 이상) 길가 194명(32%), 논‧밭 151명(25%), 집안 117명(19%), 야외작업장 44명(7%) 순
☞ 노약자*는 체온조절기능이 약하여 온열질환에 더 취약하므로, 낮 시간대 실외활동을 더욱 자제하고, 집안에서도 건강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본인은 물론 보호자 관심 필요
☞ 폭염 시 일반적으로 뜨거운 열을 피하기 위하여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으나, 실내 냉방기기 사용이 어려운 경우 등에는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무더위 쉼터’(전국 약 4만5천여 개소)를 적극 활용
* 고령자와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신체적응능력이 낮아 폭염에 더 취약하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

□ 지난 한 주(7.22(일)~7.28(토)) 동안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907명, 이 중 사망자는 13명으로 계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 최근 5년간 온열질환자 발생 분석 결과, 8월 초‧중순에 온열질환자의 약 50%가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격 휴가철을 맞아 갑작스런 야외활동으로 열탈진 등 온열질환 급증이 염려된다고 지적하며,

- 관광, 수영, 등산 등 야외활동 중 햇빛을 최대한 피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등 건강관리에 유의해 줄 것을 강조했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73 르노삼성자동차(주) New SM3 차량 윈도우 작동 시 소음 발생 무상조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13 2016.12.02
1472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6.30
1471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2
1470 롯데온, 하이마트, 전자랜드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04
1469 롯데온, 전자랜드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3.03.02
1468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08
1467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12.12
1466 롯데아울렛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6.20
1465 롯데ON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1.24
1464 로프가 파손되어 낙상 위험 있는 Kinderfeets 유아 놀이용 사다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1463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02.02
1462 로봇청소기 2개 제품 자발적 환급, 인증스티커 제공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82 2016.11.16
1461 로모스(ROMOSS) 보조배터리, 화재 발생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8 2020.05.21
1460 로렌하이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04
1459 로또 당첨번호 예측서비스, 소비자피해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4.05.29
1458 렌터카, 차량 사고 시 수리비 등 과다 청구로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7 2021.06.22
1457 렌터카 해지 위약금 및 사고 관련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26
1456 레지오넬라증 증가 추세 지속, 환경관리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7.09.06
1455 레전더리(Laegendary) 유아용 코스튬 의상, 유해물질 함유되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05.21
1454 레이저로 인한 시력 손상 우려가 있는 고양이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8.23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