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물놀이시설 이용 관련 민원의 절반 이상(52.1%)이 ‘안전 관리’와 관련된 내용으로, 안전인력 운영 및 파손 시설 보수, 수질 및 위생관리 등 수영장·워터파크 등의 이용자 안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물놀이 시설 : 수영장·유원시설(워터파크 등), 수경시설(분수대, 생태연못 등)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 이하 권익위)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기간을 맞아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생활주변 ‘물놀이시설’ 관련 민원 1,421건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국민신문고·새올 민원, 국민제안 등 민원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는 범정부 분석시스템
 
□ 물놀이시설 민원은 매년 야외물놀이가 가장 많은 시기인 8월에 가장 많고, 물놀이 시설의 증가에 따라 연도별로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발생지별로는 경기가 38.8%, 서울 15.0%, 인천 6.6% 등의 순으로, 지역별 물놀이시설 현황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물놀이시설 관련 민원 월별 추이(2015년 1월 ∼ 2018년 6월) >
1

□ 민원유형 분석결과, ‘물놀이 안전 관리’ 관련 내용이 전체의 52.1%로 가장 많았고, ‘물놀이시설 신규 설치 요구’(19.8%), ‘물놀이시설 이용 불편사항’(16.8%), ‘물놀이 시설물 관련 질의 및 신고’(11.3%) 순으로 나타났다.
 
2
 
□ 가장 많이 접수된 ‘물놀이 안전 관리’ 민원 중에서는 수영장 안전을 감시하는 수상안전요원 미배치 및 의무 소홀 등 안전요원 운영과 역할상의 문제점이 30.9%로 가장 많았으며, 이용 도중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파손 시설 보수 요구(23.0%), 수질 및 위생 관리 문제(18.2%)가 뒤를 이었다.
  
그 외에도, 시설물 관리 부실로 인한 부상 등 사고발생 문제 제기와 배상 요구 등 안전사고 처리 관련 내용(12.7%), 몰카 등 불법촬영 피해(6.6%), 안전교육 필요성(6.2%), 적정한 입장 인원 관리(2.3%) 등 여러 유형의 민원이 접수되어 물놀이시설 내에 다양한 측면의 안전문제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물놀이시설 이용 불편사항’과 관련해서는 나이‧신장 제한, 오리발 같은 개별 물놀이기구 사용 제한 등 이용 규제에 대한 불만사항이 25.1%로 가장 많았고, 강습 프로그램(22.2%), 운영시간 관련(18.0%), 부대시설 이용 불편(13.4%), 요금‧환불 관련 사항(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 ‘물놀이시설 신규 설치 요구’ 관련 유형은 전체의 19.8%로, 접수 건수(282건)는 많았지만, 대부분 신도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바닥분수 등 단지 내 수경시설 설치를 요청하는 민원이었다.
 
□ 그 밖에 ‘물놀이 시설물 관련 질의 및 신고’ 관련 민원은 시설물 설치에 대한 법령 질의‧해석 요청이 66.3%로 가장 많고, 불법 물놀이시설 신고(21.3%)도 상당수였다. 그 외에 물놀이시설 주변 주민들이  소음 등 피해를 신고하는 민원(12.5%)도 다수 있었다.
 
4
 
□ 국민권익위 안준호 권익개선정책국장은 “물놀이장 이용이 많은 휴가 시기인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련기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물에 대해서는 민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불편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제도적으로 개선할 사항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51 베란다나 창문의 어린이 추락사고 주의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09.22
2450 아침기온 뚝! 일교차 큰 초겨울, 한랭질환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0.11.12
2449 산업시설 화재, 작은 담배꽁초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1.21
2448 가전제품 쇼핑몰 파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4.15
2447 7월, 질식사고 발생 가능성 최고조로 높아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2446 단백질바(프로틴바), 허위.과대 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7.08
2445 키토제닉 식단, 정확히 알고 구매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09.02
2444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1.12.01
2443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의 위험 있는 리모컨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09
2442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1
2441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2.14
2440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7
2439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Country Time 음료 가루[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3.08
2438 부품 강도 결함 및 사용자 낙하 위험 있는 Petzl 등반로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4.01
2437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22.04.01
2436 국내유통 음료류 벤젠으로 인한 위해 우려 없어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2.28
2435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3.15
2434 식약처, 발사르탄(고혈압약 원료) 복용환자 영향평가 결과 및 추가 조사현황 등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12.20
2433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9.12.03
2432 무더운 날씨에는 이물 혼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20.07.15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