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새로운‘정부24’이렇게 이용하세요!
- 행안부,‘정부24’전면 개편, 27일부터 공식서비스 개시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국민이 언제·어디서나 정부서비스를 한 번에 찾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부24’(www.gov.kr)를 전면 개편하여 7월 27일부터 공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새로운 ‘정부24’는 기존에 정부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로 나뉘어 제공되던 메뉴를 기능 중심으로 통합하고, 자주 찾는 서비스를 한 화면에 배치하여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선하였다.

모바일에서는 화면을 좌우로 넘겨 자주 찾는 서비스로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음성검색·지문로그인 등 새로운 기능도 탑재하였다.

또한 관세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세청 등 20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정부24’에서 직접 신청 가능한 정부서비스를 22종에서 107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그동안 링크로만 제공되던 정책정보를 원문까지 볼 수 있도록 개선하여 국민편의를 높였다.

이번에 확대 제공되는 서비스는 관세청 ‘수입화물 진행정보(연간 약 770백만 건)’,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받은 내용 보기(연간 약 540만 건)’, 국세청 ‘표준재무제표 발급(연간 약 250만 건)’ 등으로 국민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항목을 위주로 구성되었다.

정책정보는 정부의 4대 주요 정책정보 포털*과의 연계로 57만여 건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개별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정부24’에서 원문 자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국가정책연구포털, 정책브리핑, 온나라정책연구, G-zone등

한편, 서비스 신청이나 나의 생활정보 등 주요서비스를 이용할 때 지문인증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정부24’를 이용할 수 있다.

PC에 공인인증서가 없는 경우에도 모바일 지문을 연결시킬 수 있어 PC만 있으면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에서든지 민원발급이 가능하다.

7월27일 열린소통포럼(정부청사별관)에서 진행되는 새로운 ‘정부24’ 공식서비스 개시 행사에서는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개편된 주요 서비스를 체험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주부, 대학생, 직장인 등 다양한 이용자들이 ‘정부24’를 체험한 소감을 영상에 담았고, 주요서비스를 시연한 뒤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체험소감 동영상에서 워킹맘 이미영씨는 “자녀양육에 가사, 직장업무까지 겹쳐 주민센터 방문할 시간을 내기가 쉽지 않은데 ‘정부24’를 통해 자녀양육수당 신청, 주택청약가점 계산까지 해결해서 밀린 숙제를 한 기분”이라며 만족해했다.

‘정부24’ 발전방안을 제안한 대학생 오수빈씨는 “모바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고 트렌드를 반영하여 앱의 기능이 많이 좋아졌다.”라며 “필요한 서류를 출력하지 않고 파일로 보내는 기능도 추가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24」가 국민 편의기능을 강화하고, 최신기술을 적용하여 새롭게 선보였다. 국민들께서 더 편리하게 많이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인공지능, 거대자료(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똑똑한 국민비서, 「정부24」가 되도록 더욱 보완‧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7-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74 무더위 시작 전, 에어컨 안전점검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6 54
6373 무더위 쉼터, 여러분의 신고로 더 편안해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3 45
6372 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67
6371 무더운 여름철 급증하는 ‘열사병 등 폭염관련 질환’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2 69
6370 무더운 날씨에 온열질환자 6월부터 발생하여 8월초 피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5 86
6369 무더운 날씨, 이물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3 84
6368 무단점유·누락된 공유재산 철저히 찾아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7 99
6367 무단 증축 건축물 26년 지나서 한 행정처분은 잘못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88
6366 무너지는 새해 건강결심, 다시 한 번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18 31
6365 무급휴직 지원금 요건 완화(무급휴직 90일 → 30일) 등 근로자의 고용유지 지원을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2 51
6364 무공해차 이제 그린카드로 충전하고, 탄소중립 실천 혜택도 받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7 6
6363 무거운 가방 호텔에서 맡기고 출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1
6362 무, 저해지보험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소비자 보호와 보험사 건전성 유지 측면에서 상품설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08 16
6361 무(저)해지환급금 보험의 상품 구조를 개선하고,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 대상에 상품설명서를 추가하였습니다. -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8 8
6360 무(無)장애 공원, 장애인 편의성 제고 노력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4 87
Board Pagination Prev 1 ...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