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옷차림이 간소화되는 여름철에는 신체 노출이 증가해 화상 우려가 더욱 높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여름철에 가장 많은 화상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어린이는 호기심이 많은 반면 반응속도가 느려 빠른 대처가 어렵고 피부가 연약해 화상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 ’16년 계절별 화상환자수(비율) : 봄 172,486명(23.2%), 여름 235,504명(31.6%), 가을 181,089명(24.3%), 겨울 155,309명(20.9%)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에 따르면 최근 3년간(’15년~’17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만 14세 이하 어린이 화상사고’는 총 2,636건**으로, 전연령 화상사고 건수(6,640건)의 3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837건 → ’16년 976건 → ’17년 823건

◎ ‘1세~3세’ 걸음마 시기에 빈발하고, 가정 내 ‘주방’에서 주로 발생
어린이 화상사고의 대부분(88.2%/2,325건)이 ‘만 6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했다. 세부 발달단계별로는 호기심과 활동범위가 증대되는 ‘1~3세 걸음마기’에 57.5% (1,515건)가 집중됐고, 이어 ‘0세 영아기’ 19.6%(51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아’가 57.3%(1,510건)로 ‘여아’ 42.7%(1,126건)보다 14.6%포인트 높았다.

화상사고가 발생한 장소는 영유아가 가장 많은 시간을 머무르는 ‘가정’이 전체의 79.2%(2,0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가정 내 화상사고의 절반 이상(57.8%/1,206건)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한 가열 조리가 이루어지는 ‘주방’에서 발생했고, 이어 ‘침실·방’ 16.4%(342건), 거실 10.5%(22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전기밥솥, 정수기, 커피포트 등 전열제품 사용 주의해야


어린이 화상원인은 뜨거운 제품과 접촉하거나(49.1%/1,295건), 뜨거운 물이나 증기(46.7%/1,232건)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밖에 콘센트에 젓가락 등을 집어넣어 발생하는 전기 화상(3.3%/86건)과 빙초산·순간접착제 등으로 인한 화학 화상(0.8%/20건)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품목별로는 ‘전기밥솥’이 18.4%(48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정수기’ 10.6%(279건), ‘커피포트’ 9.2%(242건), ‘고데기’ 6.9%(183건), ‘다리미’ 6.0%(157건)로 이상 5개 일상생활제품이 전체의 절반 이상(51.1%)을 차지했다.

◎ 화상 위험이 있는 제품은 반드시 어린이 손에 닿지 않게 보관해야


성장단계에 있는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화상사고는 신체적 고통 뿐만 아니라 흉터 생성으로 인한 관절 부위 운동제한이나 외모 스트레스에 따른 건전한 정신적 성장 저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가정이나 어린이 관련 시설 등 일상에서 어린이가 화상 위험요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환경개선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화상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으로 ▲전기밥솥 등 전열제품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둘 것 ▲어린이를 씻길 때 수도꼭지나 샤워기는 갑자기 뜨거운 물이 나올 수 있으므로 물을 받아서 할 것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안전덮개로 막아둘 것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화상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법으로 ▲화상 부위를 흐르는 물에 15~20분 정도 식힐 것 ▲부종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지 등 장신구는 제거할 것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물집은 터뜨리지 말 것 ▲깨끗한 천이나 붕대로 화상 부위를 감싼 후 병원에 방문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등 주요 안전취약계층 대상의 위해사례 분석을 통한 맞춤형 안전정보 제공을 강화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51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1.03.23
2350 흙먼지털이 시설에 설치된 공기분사기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2 2021.03.25
2349 완연한 봄, 4월에는 산불과 등산사고‧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3.25
2348 유리 주전자,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3.29
2347 손소독제 사용 중 눈에 튀는 사고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3.30
2346 신학기 문구용품 안전주의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1.03.30
2345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4.01
2344 식품 중 '스테리그마토시스틴'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1.04.02
2343 휴대용 가스레인지 관련 사고 26%는 봄철에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3 2021.04.02
2342 주식 리딩방 근절을 위한 투자자 Check Point 3가지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1.04.05
2341 구강소독용 의약품 '가글제' 마시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1.04.05
2340 해외 쇼핑몰 ‘웹트리스(Webttress)’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1.04.09
2339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4.09
2338 바닥매트, 자전거 등 비대면 수요증가 30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4.09
2337 끓였던 음식이면 무조건 안전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4.12
2336 금속 부스러기가 음식에 혼입될 수 있는 Kitchencraft 치즈 그레이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4.12
2335 유해성분이 검출 된 Connectland 헤드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4.12
2334 석면 함유된 JASIVI 규조토 욕실매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1.04.12
2333 발화 위험 있는 KingTianLe 전동공구용 배터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4.12
2332 주의사항 표시되지 않은 Starplay 하마모양 이동형 풀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1.04.12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