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삼킴 사고 빈번한 ‘아동·유아용품’ 및 유해물질 검출된 ‘화장품’ 유의해야 -


최근 해외에서 안전 문제로 리콜됐으나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제품이 확인되고 있어, 제품 구입 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8년 상반기, 해외에서 리콜된 95개 제품의 국내 유통·판매 차단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2018년 상반기에 유럽·미국·캐나다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제품의 국내 유통여부를 모니터링해, 95개 제품*에 대해 판매중단·무상수리·교환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시정 권고했다.

* ’17년 동기 47건 대비 102.1% 증가

이 중 국내 공식 수입·유통업자가 판매하는 ATV, 승차식 잔디깎이, 가정용 블렌더, 유아용 노리개젖꼭지 클립 등 8개 제품은 사업자의 자발적인 교환 및 환급·무상수리 등이 이루어졌다. 국내 공식 수입·유통업자가 판매하지 않거나 유통경로 확인이 어려운 87개 제품은 통신판매중개업자 정례협의체*등을 통해 온라인 판매게시물 삭제·판매중단 등의 조치로 해당 제품이 국내에 유통되지 않도록 했다.

* 온라인 유통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쿠팡 등 5개사가 참여

○삼킴 사고 빈번한 ‘아동·유아용품’ 및 유해물질 검출된 ‘화장품’ 등 특히 유의

해외리콜정보는 여러 국가의 리콜기관(17개)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되는데, ’18년 상반기 국내 시정조치된 제품의 41.1%는 ‘유럽 연합’의 신속경보시스템(RAPEX System)*으로부터 수집됐다.

* 소비자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제품에 대한 유럽 연합 31개 회원국 간의 신속 정보 교환·통지 시스템

상대적으로 많이 리콜된 품목 중, ‘아동·유아용품’은 완구 부품 또는 파손된 제품 일부 등을 삼켜 질식할 우려로 리콜된 사례가 57.7%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의 경우 발암물질 검출 등 유해물질로 인해 리콜된 사례가 75.0%로 대부분을 차지해 해당 품목 구입 시 특히 유의해야 한다.

○해외 리콜대상 제품 외에 국내 유통되는 유사 제품도 리콜조치 연계

또한 금년 상반기에는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차단 뿐 아니라, 리콜 대상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 및 안전성을 모니터링해 시정조치함으로써 국민생활 안전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했으며, 향후에도 유사·동일 제품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 상세내용 <붙임> 참고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국내에 유통될 수 있으므로, 해외직구나 구매대행 등의 방법으로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또는 열린 소비자포털 행복드림(www.consumer.go.kr)**에서 해외제품 리콜정보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홈페이지, ‘안전이슈 - 위해정보처리속보’

** 행복드림(www.consumer.go.kr) 홈페이지, ‘상품안전정보 - 위해정보처리속보’

아울러 앞으로도 통신판매중개업자·TV홈쇼핑·대형마트 등 다양한 유통채널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제품의 국내 유통차단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11 ’16. 5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0 163
11310 ’16. 9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65
11309 ’16년 12월 ~ ’17년 2월 전국 87,985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2 101
11308 ’16년 1월~’16년 3월 전국 59,881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93
11307 ’16년 2/4분기 석유제품 수급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8 82
11306 ’16년 2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2 65
11305 ’16년 2월~’16년 4월 전국 58,344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9 84
11304 ’16년 6월~’16년 8월 전국 86,304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5
11303 ’16년 7월 자동차 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15
11302 ’16년 7월~’16년 9월 전국 77,800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98
11301 ’16년 주택인·허가 72.6만호, 분양승인은 46.9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53
11300 ’17년 1월~ ’17년 3월 전국 아파트 78,534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2 56
11299 ’17년 2월~ ’17년 4월 전국 아파트 79,068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0 53
11298 ’17년 3월 ~ ’17년 5월 전국 아파트 66,442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21 108
11297 ’17년 5월 ~ ’17년 7월 전국 아파트 87,057세대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0 56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