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소비자가 직접 주거공간을 꾸미는 셀프 인테리어(Self Interior) 열풍이 일면서 친환경’, ‘무독성등을 강조하는 다양한 실내용 페인트가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에서 새집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검출되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 유통·판매 중인 실내용 페인트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유해 보존제 함량 등 안전성 및 표시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실내 벽지용으로 표시하거나 광고하는 제품

 

19개 제품에서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 검출

 

CMIT/MIT, BIT, OIT 등 페인트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은 피부 과민성 물질로 분류되며, 유럽연합은 해당 물질이 페인트에 일정 농도 이상 함유되어 있을 경우 제품 포장에 물질명알레르기 반응 주의 문구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포장에 관한 규정(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 of substances and mixtures Regulation, 이하 CLP 규정)

 

시험결과, 조사대상 20개 중 19(95.0%) 제품에서 유럽연합 CLP 규정을 초과하는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이 검출됐다.

 

2개 제품에서 CMIT/MIT 혼합물이 각각 37.5/, 44.8/, 18개 제품에서 BIT가 최소 57.7/~최대 359.7/, 2개 제품에서 OIT가 각각 244.3/, 380.7/수준으로 검출됐다.

 

그러나 피부 과민반응 유발 물질명과 주의 문구를 표시한 제품은 유럽에서 수입된 1개에 불과했다. 이는 피부 과민반응 물질 표시기준이 국내에는 없기 때문이다.

[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 검출 현황 ]

(단위 : /)

물질명

유럽연합
CLP 규정 농도

검출 범위

기준 초과 제품수

비고

CMIT/MIT 혼합물

1.5

37.5~44.8

2

CMIT/MIT 단독 : 1BIT 단독 : 15

CMIT/MIT+BIT 중복 : 1BIT+OIT 중복 : 2

BIT

50

57.7~359.7

18

OIT

50

244.3~380.7

2

 

·C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 :피부 발진 및 알레르기, 안구 부식, 체중 감소 유발

·MIT(Methylisothiazolinone) : 피부 자극 및 부식 유발

·BIT(Benzylisothiazolinone) :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구 자극, 천식, 비염 등 유발

·OIT(Octylisothiazolinone) : 피부 및 안구 부식 유발, 호흡기 독성

 

일부 제품,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표시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어

 

페인트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용도별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s) 함량기준을 준수해야 하고, 도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유량 산정방법, 용기 표시사항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VOCs 함량을 용기에 표시해야 한다.

VOCs 함량 시험결과, 조사대상 20개 전 제품이 함량기준(콘크리트·시멘트·몰탈용 수성 무광 및 가정용 수성, 35g/L이하)을 준수했으나, 8(40.0%) 제품은 표시된 VOCs 함량보다 실제 함량이 높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VOCs 표시 함량과 실제 함량 비교 ]

                                                                            (단위 : g/L)

시료번호

표시 함량

실제 함량

시료번호

표시 함량

실제 함량

#2

20 이하

30.0

#16

불검출

11.0

#5

0.39

25.3

#17

5 미만

33.2

#12

0.04~5

21.1

#18

30

33.7

#14

불검출

20.4

#20

6 이하

33.3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벤젠, 톨루엔, 자일렌, 폼알데하이드 등을 통칭하며, 자체만으로 독성이 있어 흡입할 경우 현기증, 마취작용 등을 수반할 수 있고, 공기중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해 기침, 안구 자극 등을 유발

 

실내용 페인트 안전기준 강화 필요

 

우리나라는 페인트(콘크리트·시멘트·몰탈용 수성 무광 및 가정용 수성)VOCs 함량을 35g/L이하로 제한하고 있어 미국 캘리포니아 주(건축용 수성 무광, 50g/L이하)에 비해 엄격한 반면, 유럽연합(실내 벽면 및 천장용 수성 무광)30g/L이하로 우리나라보다 규제 수준이 높다.

실제로 조사대상 20개 중 9개 제품이 유럽연합 페인트 VOCs 함량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표시·광고 관리·감독 강화 필요

 

페인트의 경우 도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유량 산정방법, 용기 표시사항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용도분류 및 VOCs 함유기준’, ‘VOCs 함유량’, ‘희석용제의 종류 및 최대희석비’, ‘제조 또는 수입 일자등을 용기에 표시해야 한다. 조사대상 20개 중 13(65.0%) 제품은 표시사항을 전부 또는 일부 누락하고 있어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성에 관한 광고를 할 때에는 소비자가 오인할 우려가 없도록 환경성 표시·광고 관리제도에 관한 고시에 따라 사실에 근거한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조사대상 20개 중 17(85.0%) 제품은 VOCs가 함유되어 있음에도 ‘ZERO VOC’라는 표현을 사용하거나, 유해 보존제 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인체 무해’, ‘무독성’, ‘100% 천연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에 실내용 페인트의 VOCs 함량기준 강화 이소치아졸리논계 혼합물 및 화합물 등 유해 화학물질 관련 표시기준 마련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959 즐거운 여름 휴가, 바닷가 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7.26
1958 가을철 야외활동 독버섯, 뱀 등 독성생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9.02
1957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07.01
1956 어린이 기호식품 영양성분 확인하고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0.19
1955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Earthborn Holistic 개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5.13
195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7.12
1953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9.15
1952 가을철, 진드기 및 쥐와도 거리두기를 실천해주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9.16
1951 사용 중 가스 누설 가능성 있는 SOTO 레큘레이터 스토브(ST-310MT)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2.09
1950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10
1949 벤젠 검출된 Aussie 드라이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14
194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6)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6.08
1947 배터리 단자함 미고정으로 질식 위험 있는 피아노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3
1946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4
1945 이산화황 성분이 초과 검출된 Autour du Riz 설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6
1944 12세 여학생 세 명 중 두 명이 받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방학 때 미리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1.24
1943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13
1942 Bob’s Red Mill 곡물가루(Organic Amaranth),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6.21
1941 미허용 성분(CMIT/MIT) 함유 수입 세척제 수거.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3.19
1940 전국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9.07.03
Board Pagination Prev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