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2.~7.28.)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하천이나 강, 계곡, 바닷가 등에서의 물놀이 사고 위험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여름철(6~8월)에 발생한 물놀이 사고로 총 169명이 사망하였다.

발생 시기로는 전체 사고의 절반(80명, 47%) 정도가 7월 하순부터 8월 초순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사고 장소로는 하천이나 강에서 95명(56%)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가의 갯벌이나 해변, 계곡이 각각 25명(15%), 해수욕장 22명(13%) 순으로 발생하였다.

행정안전부는 물놀이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7월 15일에서 8월 15일까지를 ‘물놀이 집중관리기간’으로 정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상황체계*를 강화하였다.
* ①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소방서, 경찰서,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② (행정안전부)평일과 휴일 상황관리반 운영, (지방자치단체) 비상근무반 운영

특히, 올해는 다슬기를 잡다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사고 발생지역에 안전표지판과 현수막을 설치하고‘다슬기 채취 시 안전 행동요령’을 배포하는 등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물놀이 안전명소*‘ 24개소를 지정하여 안내하고 있다.
*물놀이 안전명소: 주변 경관, 안전성 사고발생 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려면 금지구역에는 출입하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놀이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입어야 하며, 물에 들어갈 때는 심장에서 먼 다리와 팔, 얼굴, 가슴 순서로 들어 가야한다.

특히,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물놀이를 자제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한 무리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다슬기를 잡을 때도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하천의 바닥이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미끄럼 방지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또한, 다슬기 채취망에는 물에 잘 뜨는 고무공이나 스티로폼 등을 달아 사고를 예방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소리쳐 알리고(119 신고), 직접 뛰어들기 보다는 주변의 튜브나 스티로폼 등을 활용하여 구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해마다 물놀이 사고로 34명 정도의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민들께서는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며, “물놀이를 하거나 다슬기를 잡기 전에는 평소 아는 곳이라도 주변에 위험 요인은 없는지 살펴보고 무엇보다 안전수칙을 잘 지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인도 일부 지역 여행경보단계 햐항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7.11.15
3150 인도 니파바이러스감염증 발생…여행자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8.05.25
3149 인공눈물,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4.16
3148 인공 화학물질이 과도하게 함유된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4.16
3147 익사 위험 있는 ULI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03
3146 익사 위험 있는 Jobe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11.14
3145 익사 위험 있는 Jobe 튜브형 패들보드 판매차단 안내(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11.14
3144 이쿼발렌자코리아 / EQUIVALENZA KOREA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0.09.10
3143 이케아 말름(MALM) 등, 국가기술표준원에 시정 건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02 2016.07.07
3142 이카린 성분 검출 미국산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09.29
3141 이취와 이미가 발생한 땅콩, 된장맛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3.03.16
3140 이취 발생한 올슨 치즈스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6
3139 이취 발생한 소고기볶음밥 자진 회수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09.26
3138 이음새 봉합이 미흡하여 질식 위험 있는 Sambro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1.15
3137 이음부 납 농도 과도한 Create Toys 자동차 완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3.02.14
3136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위생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09.06
3135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맞춤형 안전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7.07.17
3134 이엔지샵 / ENZ샵 / ENZ SHOP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5.17
3133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 후, 생활 속 주의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6.28
3132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Hajj, ’18년8월19일∼8월24일)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14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