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연일 지속되는 폭염,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주간(7.22.~7.28.) 안전사고 예보-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하천이나 강, 계곡, 바닷가 등에서의 물놀이 사고 위험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여름철(6~8월)에 발생한 물놀이 사고로 총 169명이 사망하였다.

발생 시기로는 전체 사고의 절반(80명, 47%) 정도가 7월 하순부터 8월 초순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사고 장소로는 하천이나 강에서 95명(56%)으로 가장 많았고, 바닷가의 갯벌이나 해변, 계곡이 각각 25명(15%), 해수욕장 22명(13%) 순으로 발생하였다.

행정안전부는 물놀이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7월 15일에서 8월 15일까지를 ‘물놀이 집중관리기간’으로 정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상황체계*를 강화하였다.
* ①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소방서, 경찰서, 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② (행정안전부)평일과 휴일 상황관리반 운영, (지방자치단체) 비상근무반 운영

특히, 올해는 다슬기를 잡다가 발생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사고 발생지역에 안전표지판과 현수막을 설치하고‘다슬기 채취 시 안전 행동요령’을 배포하는 등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물놀이 안전명소*‘ 24개소를 지정하여 안내하고 있다.
*물놀이 안전명소: 주변 경관, 안전성 사고발생 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려면 금지구역에는 출입하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놀이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입어야 하며, 물에 들어갈 때는 심장에서 먼 다리와 팔, 얼굴, 가슴 순서로 들어 가야한다.

특히,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물놀이를 자제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한 무리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다슬기를 잡을 때도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하천의 바닥이 이끼 등으로 미끄러우니 미끄럼 방지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또한, 다슬기 채취망에는 물에 잘 뜨는 고무공이나 스티로폼 등을 달아 사고를 예방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소리쳐 알리고(119 신고), 직접 뛰어들기 보다는 주변의 튜브나 스티로폼 등을 활용하여 구조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해마다 물놀이 사고로 34명 정도의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국민들께서는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며, “물놀이를 하거나 다슬기를 잡기 전에는 평소 아는 곳이라도 주변에 위험 요인은 없는지 살펴보고 무엇보다 안전수칙을 잘 지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93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목욕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04
2892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2891 가족,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5.13
2890 쉐프의반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08
2889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2888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10.17
2887 물놀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르신도 주의해야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18.07.19
2886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ee Wooden Toy 목재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4.14
2885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7.01
2884 무게가 가해지면 작은 조각으로 깨져 질식 위험 있는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2.08
2883 임야화재 절반이 2월에서 4월 사이 집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2.18
2882 1372소비자상담센터·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3.09
2881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4.28
2880 알레르기 성분(땅콩) 미표기된 Natural Way 아몬드 버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6.24
2879 감전 위험 있는 영선전자 X10F 안마의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2.11
2878 청년층 대상 고액 아르바이트 사칭 현금 수거책 모집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2.22
2877 돌출된 부분있어 질식 위험있는 유아용 탕온도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5.02
2876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AllMeInGeld 유아용 잠옷(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5.03
2875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AOSKERA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05.03
2874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2.11.15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