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전체 익수사고의 44%가 여름철에 발생
-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익수사고의 57%가 여름철에 발생
- 65세 이상에서 발생은 18% 차지, 사망은 31%
◇ 물놀이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 익수사고 예방 가능
-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 익수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 물놀이 전 준비사항, 장소별 주의사항 등 사전에 숙지할 것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익수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여름철 익수사고는 부주의할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은 여름철 발생이 높아 보호자가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7년간(10~16년) 익수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1 참조).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8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2010-2016년 174만 7906건(연간 평균 25만 건) 조사
** 익수사고는 물에 빠지는 사고를 말하며,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서는 익수사고 후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를 조사

○ 익수사고로 23개 의료기관(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430명이고, 이 중 293명이 사망하였다.
- 남자가 여자보다 약 2~3배 (발생: 남자 67%, 여자 33%, 사망: 남자 76%, 여자 24%)

○ 익수사고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이 중 여름철에 44% > 봄에 21% > 가을에 20% > 겨울에 15% 발생하였다.
- 12세 이하 소아의 익수사고는 전체 익수사고의 약 4분의 1을 차지(24.8%)하고, 절반 이상이 여름철에 발생(57.3%)
- 65세 이상은 전체 익수사고 발생의 18%를 차지하나, 사망은 31%를 차지

○ 익수사고 발생장소별로 보면, 바다‧강‧연못 등 야외장소(67.4%)와 수영장 시설(17.4%)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 수영장 시설에서의 사고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2.5%, 성인에서는 12.9%로 소아가 2.5배 이상
- 야외장소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5%, 성인에서는 77.6%로 성인이 2배 이상

□ 질병관리본부는 어른용, 어린이용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과 웹진을 개발한바 있으며,

○ 어른용 가이드라인은 ①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② 익수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③ 장소별 주의사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붙임 2 참조)

-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며, 유사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함께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

- 물에 빠진 사람 구출 시 구조자의 안전 확보가 중요하고, 빠른 구조 요청과 심폐소생술 실시 등이 중요하다.

- 바닷가나 강가의 경우, 물살이나 파도, 물의 깊이를 먼저 확인하고, 신발이나 물건이 떠내려가면 아이는 반드시 어른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지도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물놀이 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익수사고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 어르신에서도 많이 발생하므로 모두가 안전수칙을 지키도록 하고, 어린이에 대해서는 지도가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사고를 포함하여 사고나 안전과 관련한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현황과 함께 안전수칙을 알림으로써 국민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40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9]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2.03.10
2939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7]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2.03.10
2938 코로나19 관련 자가검사키트 공급,구매 및 정책지원금 안내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2.02.24
2937 알레르기 성분(겨자, 대두) 미표시된 Flying Goose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12.27
2936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Apyforme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12.22
2935 할부금을 대신 갚아주겠다는 중고차 대출 금융사기를 주의하세요!,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1.05.11
2934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시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7.20
2933 등교 수업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6.03
2932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3.16
2931 신학기 초등학생 교통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9.08.22
2930 식중독 예방 위한 개인 위생관리는 손 씻기부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9.08.09
2929 중금속 기준초과 검출 농산물 '우슬'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9.05.02
2928 호남지역, 택배 서비스 소비자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8.09.17
2927 3월 초등학교와 중학교 입학 예정 어린이, 예방접종 완료하고 입학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8.01.31
2926 스키 탈 때 안전수칙 꼭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7.12.14
2925 위생취약우려 식품취급시설 점검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7.08.11
2924 프탈레이트 검출된 Urban Fight 운동용 장갑(복싱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5
2923 퀵 릴리즈 레버가 충분히 고정되지 않은 Chevrolet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5
2922 폭발·화재 및 화상 위험 있는 플라즈마 절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3.10
2921 자속 지수가 높고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는 자석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2.03.14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