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전체 익수사고의 44%가 여름철에 발생
-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익수사고의 57%가 여름철에 발생
- 65세 이상에서 발생은 18% 차지, 사망은 31%
◇ 물놀이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 익수사고 예방 가능
-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 익수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 물놀이 전 준비사항, 장소별 주의사항 등 사전에 숙지할 것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익수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여름철 익수사고는 부주의할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은 여름철 발생이 높아 보호자가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7년간(10~16년) 익수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1 참조).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8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2010-2016년 174만 7906건(연간 평균 25만 건) 조사
** 익수사고는 물에 빠지는 사고를 말하며,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서는 익수사고 후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를 조사

○ 익수사고로 23개 의료기관(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430명이고, 이 중 293명이 사망하였다.
- 남자가 여자보다 약 2~3배 (발생: 남자 67%, 여자 33%, 사망: 남자 76%, 여자 24%)

○ 익수사고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이 중 여름철에 44% > 봄에 21% > 가을에 20% > 겨울에 15% 발생하였다.
- 12세 이하 소아의 익수사고는 전체 익수사고의 약 4분의 1을 차지(24.8%)하고, 절반 이상이 여름철에 발생(57.3%)
- 65세 이상은 전체 익수사고 발생의 18%를 차지하나, 사망은 31%를 차지

○ 익수사고 발생장소별로 보면, 바다‧강‧연못 등 야외장소(67.4%)와 수영장 시설(17.4%)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 수영장 시설에서의 사고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2.5%, 성인에서는 12.9%로 소아가 2.5배 이상
- 야외장소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5%, 성인에서는 77.6%로 성인이 2배 이상

□ 질병관리본부는 어른용, 어린이용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과 웹진을 개발한바 있으며,

○ 어른용 가이드라인은 ①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② 익수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③ 장소별 주의사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붙임 2 참조)

-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며, 유사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함께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

- 물에 빠진 사람 구출 시 구조자의 안전 확보가 중요하고, 빠른 구조 요청과 심폐소생술 실시 등이 중요하다.

- 바닷가나 강가의 경우, 물살이나 파도, 물의 깊이를 먼저 확인하고, 신발이나 물건이 떠내려가면 아이는 반드시 어른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지도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물놀이 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익수사고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 어르신에서도 많이 발생하므로 모두가 안전수칙을 지키도록 하고, 어린이에 대해서는 지도가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사고를 포함하여 사고나 안전과 관련한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현황과 함께 안전수칙을 알림으로써 국민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53 소형 부품 삼킬 시 질식 위험 있는 말 모양 봉제인형 딸랑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4.28
1452 1372소비자상담센터·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스미싱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3.09
1451 임야화재 절반이 2월에서 4월 사이 집중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2.18
1450 무게가 가해지면 작은 조각으로 깨져 질식 위험 있는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2.08
1449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7.01
1448 작은 부품 삼킴 사고 우려 있는 Bee Wooden Toy 목재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4.14
» 물놀이,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르신도 주의해야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18.07.19
1446 HICC 성분 함유한 Al Haramain 향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10.17
1445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bifriend, Meirenpeizi - Zhijia Jewelry 목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13
1444 쉐프의반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6.08
1443 가족,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5.13
1442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28
1441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목욕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2.04.04
1440 고령소비자, 이동전화서비스 불완전판매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16
1439 콘도회원권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05
1438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MDH 커리 가공식품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11.04
1437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29
1436 증권사 전산장애 발생시 반드시 3가지를 기억하세요!(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09
1435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Garnier 샴푸 및 컨디셔너(바나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3.17
143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Pumpkin Pie Spice 호박파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