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전체 익수사고의 44%가 여름철에 발생
-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익수사고의 57%가 여름철에 발생
- 65세 이상에서 발생은 18% 차지, 사망은 31%
◇ 물놀이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 익수사고 예방 가능
-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 익수사고 발생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 물놀이 전 준비사항, 장소별 주의사항 등 사전에 숙지할 것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익수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여름철 익수사고는 부주의할 경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은 여름철 발생이 높아 보호자가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손상 발생 및 원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7년간(10~16년) 익수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1 참조).

*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는 2006년부터 5개 의료기관 참여로 시작되었고, 2018년 현재 23개 기관이 참여하여 응급실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 및 원인 정보를 조사, 2010-2016년 174만 7906건(연간 평균 25만 건) 조사
** 익수사고는 물에 빠지는 사고를 말하며,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서는 익수사고 후 의료기관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를 조사

○ 익수사고로 23개 의료기관(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430명이고, 이 중 293명이 사망하였다.
- 남자가 여자보다 약 2~3배 (발생: 남자 67%, 여자 33%, 사망: 남자 76%, 여자 24%)

○ 익수사고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이 중 여름철에 44% > 봄에 21% > 가을에 20% > 겨울에 15% 발생하였다.
- 12세 이하 소아의 익수사고는 전체 익수사고의 약 4분의 1을 차지(24.8%)하고, 절반 이상이 여름철에 발생(57.3%)
- 65세 이상은 전체 익수사고 발생의 18%를 차지하나, 사망은 31%를 차지

○ 익수사고 발생장소별로 보면, 바다‧강‧연못 등 야외장소(67.4%)와 수영장 시설(17.4%)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 수영장 시설에서의 사고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2.5%, 성인에서는 12.9%로 소아가 2.5배 이상
- 야외장소 발생은 12세 이하 소아에서는 35%, 성인에서는 77.6%로 성인이 2배 이상

□ 질병관리본부는 어른용, 어린이용 물놀이 안전가이드라인과 웹진을 개발한바 있으며,

○ 어른용 가이드라인은 ① 물가, 야외에 나갔을 경우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 것, ② 익수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수칙을 숙지할 것, ③ 장소별 주의사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붙임 2 참조)

- 어린이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틈에 갑자기 발생하며, 유사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함께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

- 물에 빠진 사람 구출 시 구조자의 안전 확보가 중요하고, 빠른 구조 요청과 심폐소생술 실시 등이 중요하다.

- 바닷가나 강가의 경우, 물살이나 파도, 물의 깊이를 먼저 확인하고, 신발이나 물건이 떠내려가면 아이는 반드시 어른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지도한다.

* 질병관리본부는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해 관련 물놀이 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화상안전 등 영역별 안전가이드라인을 웹진․웹툰 형태(‘어린이용’과 ‘어른용‘)로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한국생활안전연합(www.safia.org)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음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익수사고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 어르신에서도 많이 발생하므로 모두가 안전수칙을 지키도록 하고, 어린이에 대해서는 지도가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 질병관리본부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사고를 포함하여 사고나 안전과 관련한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현황과 함께 안전수칙을 알림으로써 국민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073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3.21
1072 Lee’s Tea 찻잎,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5.16
1071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Hajj) 전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7.30
1070 Britax BOB 유모차(Jogging Strollers), 사용 중 앞바퀴 분리될 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11.04
1069 ZING 화살 완구(Air huntress Z bow), 눈 부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10.23
1068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8.02.22
1067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6
1066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30
1065 '성형용 필러' 허가된 사용목적 꼭 확인해 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11.17
1064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2.06.08
1063 오일 압력 경고등 오점등 되는 그랜저, G70 차량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3.03.09
1062 '슬램덩크' 가품 '굿즈'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3.03.22
1061 7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6.30
1060 이유식.간식 등 우리아이 먹거리 위생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09.06
1059 Selecta Spielzeug AG 영유아용 모빌(Limbo Mini Mobile),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12.06
1058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1.25
1057 손잡이 분리돼 화상 위험이 있는 KitchenAid 전기포트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5.17
1056 허용되지 않은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수입 기타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12.11
1055 Fallopia multiflora 대체의약품, 간 손상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7.22
1054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1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