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국가기술표준원(원장 허남용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 공동조사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리코더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고, 악기 케이스에서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 및 교육계의 주의가 필요하다.

 

초등학생이 사용 중인 리코더 10개 중 9개 위생상태 불량

리코더와 같이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내는 악기는 내부에 침이 고이는 등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위해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높다.

한국소비자원이 초등학생이 음악수업에 사용한 리코더 93(구강과 직접 접촉하는 리코더 윗관(186cm²))를 대상으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86(92.5%)에서 일반세균이 최대 2CFU, 평균 640CFU, 6(6.5%)에서는 대장균군이 최대 3,600CFU, 평균 640CFU가 검출됐다.

[ 일반세균·대장균군 검출 현황 ]

(단위 : CFU/윗관)

구분

시료수

검출범위

평균 세균수

검출시료수(검출률)

비고

일반세균

93

100~2

640

86(92.5%)

- 일반세균 단독 : 80

- 일반세균·대장균군 중복 : 6

- 일반세균·대장균군 불검출 : 7

대장균군

100~3,600

640

6(6.5%)

* CFU(Colony of Forming Unit) : 눈으로 보기 힘든 미생물을 적절한 조건으로 성장시켜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키운 집락의 단위

 

위생지표균(일반세균, 대장균군) : 세균수가 많아지면 병원성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배탈·설사를 유발할 수 있음.

 

일반세균대장균군은 위해미생물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위생지표균으로 한국소비자원의 이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일반세균은 대형할인마트 카트손잡이(20,460CFU)보다 약 312, ‘대장균군은 공용기저귀교환대(20CFU)보다 약 32만배 높아 오염정도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또한, 리코더 11(11.8%)에서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최대 19CFU, 평균 21,000CFU가 검출됐다.

[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현황 ]

                                                                                                                                                               (단위 : CFU/윗관)

구분

시료수

검출범위

평균 세균수

검출시료수(검출률)

황색포도상구균

93

500~19

21,000

11(11.8%)

 

병원성미생물(황색포도상구균) : 식중독 사고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면역체계가 완전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 동일한 노출 상황이라도 성인보다 증세가 심할 수 있음.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낮아 교육 강화 필요

초등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리코더 관리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31(58.2%)은 사용 전후에 세척 등 위생관리를 전혀 하지 않았고, 58(25.7%)은 불규칙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오염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리코더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류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일반세균이 98.6% 감소하고, 세제로 세척할 경우 100% 제거할 수 있는 등 초등학생도 어렵지 않게 위생관리를 할 수 있는 만큼 체계적인 위생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17개 중 2(11.8%) 제품의 케이스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 초과 검출

악기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학용품으로 분류되며,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악기 17(리코더 6, 멜로디언 6, 단소 5) 제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2개 제품(멜로디언 1, 단소 1)의 케이스에서 중추신경 장애를 유발하는 이 기준치 대비 3.5, ·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138.7배 초과 검출됐다.

[ 악기 케이스 유해물질 검출 현황 ]

항목

기준치

검출치

기준치 초과 제품수

비고

총 납(Pb)

300mg/kg

1,044mg/kg

1

- 1개 제품은
중복검출

프탈레이트 가소제(6)

0.1%

0.47~13.87%

2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학부모 등에게 리코더 등 입으로 부는 악기는 반드시 세척한 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는 별도로 서울시교육청은 악기류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위생교육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국가기술표준원은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된 제품(악기 케이스)에 대해 수거·교환 등 리콜명령 조치를 실시했다.

향후에도 한국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서울시교육청은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5 아동용 운동화 내구성, 제품에 따라 차이 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69
1744 12월 22일부터 30만원 미만 소액 장기연체자는 1년만에 신용등급을 회복할 수 있게 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12
1743 국민신문고, 스마트폰에서 더 쉽고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2 101
1742 이젠 집으로 갈 수 있어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3
1741 공공기관 개인정보 자율관리체계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78
1740 주정차 단속 구역 사전알림 신청, 한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9
1739 인터넷상 서민대출 추천글, 알고보니 거짓-과장 광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100
1738 드론 신 산업, 비상(飛上)하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79
1737 ’16년 1월~’16년 3월 전국 59,881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93
1736 택시 승차거부, 연말 심야시간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1 88
1735 노후간판 교체사업 눈먼 보조금, 관리실태 심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2
1734 출장 건강검진 검체 관리 엄격 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117
1733 젊어서 어르신 돌보고 나중에 돌려받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확대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84
1732 치매검진 급여전환, 24시간 방문요양 도입, 치매가족상담 수가 신설 등 치매부담 대폭 경감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4
1731 이행강제금 감경 부과하고, 건축허가서류 간소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8 98
Board Pagination Prev 1 ...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