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국가기술표준원(원장 허남용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 공동조사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리코더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고, 악기 케이스에서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 및 교육계의 주의가 필요하다.

 

초등학생이 사용 중인 리코더 10개 중 9개 위생상태 불량

리코더와 같이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내는 악기는 내부에 침이 고이는 등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위해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높다.

한국소비자원이 초등학생이 음악수업에 사용한 리코더 93(구강과 직접 접촉하는 리코더 윗관(186cm²))를 대상으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86(92.5%)에서 일반세균이 최대 2CFU, 평균 640CFU, 6(6.5%)에서는 대장균군이 최대 3,600CFU, 평균 640CFU가 검출됐다.

[ 일반세균·대장균군 검출 현황 ]

(단위 : CFU/윗관)

구분

시료수

검출범위

평균 세균수

검출시료수(검출률)

비고

일반세균

93

100~2

640

86(92.5%)

- 일반세균 단독 : 80

- 일반세균·대장균군 중복 : 6

- 일반세균·대장균군 불검출 : 7

대장균군

100~3,600

640

6(6.5%)

* CFU(Colony of Forming Unit) : 눈으로 보기 힘든 미생물을 적절한 조건으로 성장시켜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키운 집락의 단위

 

위생지표균(일반세균, 대장균군) : 세균수가 많아지면 병원성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배탈·설사를 유발할 수 있음.

 

일반세균대장균군은 위해미생물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위생지표균으로 한국소비자원의 이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일반세균은 대형할인마트 카트손잡이(20,460CFU)보다 약 312, ‘대장균군은 공용기저귀교환대(20CFU)보다 약 32만배 높아 오염정도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또한, 리코더 11(11.8%)에서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최대 19CFU, 평균 21,000CFU가 검출됐다.

[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현황 ]

                                                                                                                                                               (단위 : CFU/윗관)

구분

시료수

검출범위

평균 세균수

검출시료수(검출률)

황색포도상구균

93

500~19

21,000

11(11.8%)

 

병원성미생물(황색포도상구균) : 식중독 사고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면역체계가 완전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 동일한 노출 상황이라도 성인보다 증세가 심할 수 있음.

 

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낮아 교육 강화 필요

초등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리코더 관리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31(58.2%)은 사용 전후에 세척 등 위생관리를 전혀 하지 않았고, 58(25.7%)은 불규칙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오염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리코더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류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일반세균이 98.6% 감소하고, 세제로 세척할 경우 100% 제거할 수 있는 등 초등학생도 어렵지 않게 위생관리를 할 수 있는 만큼 체계적인 위생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17개 중 2(11.8%) 제품의 케이스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 초과 검출

악기는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학용품으로 분류되며,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악기 17(리코더 6, 멜로디언 6, 단소 5) 제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2개 제품(멜로디언 1, 단소 1)의 케이스에서 중추신경 장애를 유발하는 이 기준치 대비 3.5, ·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138.7배 초과 검출됐다.

[ 악기 케이스 유해물질 검출 현황 ]

항목

기준치

검출치

기준치 초과 제품수

비고

총 납(Pb)

300mg/kg

1,044mg/kg

1

- 1개 제품은
중복검출

프탈레이트 가소제(6)

0.1%

0.47~13.87%

2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원은 어린이, 학부모 등에게 리코더 등 입으로 부는 악기는 반드시 세척한 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는 별도로 서울시교육청은 악기류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위생교육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국가기술표준원은 유해물질이 초과 검출된 제품(악기 케이스)에 대해 수거·교환 등 리콜명령 조치를 실시했다.

향후에도 한국소비자원·국가기술표준원·서울시교육청은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8-07-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1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전세임대주택 총 7천호 입주자 모집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3 43
1800 청년·신혼부부에 시세 70~85%로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04 36
1799 청년·신혼부부의 주택도시기금 활용법, “생애주기별로 금리혜택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6 12
1798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등 5개 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10 19
1797 청년내일채움공제, 2023년에는 인력부족업종의 소규모 기업을 집중 지원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23
1796 청년들에게 힘을 보태는 ‘천원의 아침밥’ 전년 대비 2배 수준 확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8 8
1795 청년들의 취업 준비, 정부가 도와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8 22
1794 청년마음건강지원 서비스,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88
1793 청년세대와 한발 더 가까이…‘2030자문단’ 모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10
1792 청년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 … 「청년기본법」제정, 8월 5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3
1791 청년에게 미래를, 지역에는 활력을 3월 4일부터 2020년도 1차 도시재생뉴딜 청년인턴 모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5 12
1790 청년에겐 일자리, 지역에는 활력을...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지원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17 12
1789 청년의 주거비 걱정을 덜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1 56
1788 청년의 집 걱정이 줄어듭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31 53
1787 청년의 푸른 미래, 보건복지부가 응원합니다. “청년저축계좌” 4월 7일부터 모집 시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30 59
Board Pagination Prev 1 ...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