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최근 나흘새 온열환자 285명 보고, 매년 7월 중순부터 급증경향
◇ 10명 중 4명은 낮시간대(12~17) 실외에서 발생, 낮시간 전후로도 주의 필요
◇ 폭염특보 시 실외활동 자제 및 수분섭취, 휴식 등 건강수칙 준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폭염, 열대야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온열질환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온열질환 :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가 나타나며, 방치시 생명이 위태로움(일사병․열사병이 대표적)

○ 질병관리본부는「온열질환 감시*」결과(5.20~7.15) 올해 총 551건의 온열환자가 신고(사망 4명)되었으며, 최근 나흘(7.12~7.15)새 285명(52%)이 신고되어 급증세를 보고이고 있다고 밝혔다.
* 온열질환 감시 : 전국 응급의료기관(519개) 기반으로 한 표본감시체계

- 또한, 지난 5년간(2013~2017) 자료분석 결과 7월 중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중순까지(7.11~8.20) 환자의 78%(5,077명)가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5년간 온열질환자는 총 6,500명 보고되었으며, 10명 중 4명(2,588명, 40%)은 낮시간대(12~17시) 논밭‧작업현장 등 실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폭염특보 시 낮시간대 야외활동을 가급적 자제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낮시간대를 전후한 아침‧저녁(9시~12시, 17시~21시)에도
실외에서 2,162명(33%)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되었으며,

- 집안이나 작업장 등 실내에서 발생한 경우도 1,291명(20%)에 달해 폭염과 열대야가 예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강수칙 준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건강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며,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한다.

○ 폭염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가능한 위험시간대(12시~17시)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하면 온열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폭염 시 음주 또는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신 후 작업하면 위험하고, 만성질환(심혈관질환, 당뇨병, 뇌졸중, 투석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 일사병․열사병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도록 하고, 옷을 풀고 시원한(너무 차갑지 않은) 물수건으로 닦아 체온을 내리고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 환자에게 수분보충은 도움 되나 의식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않도록 하며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 질병관리본부KCDC 2018-07-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93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5 2019.07.08
2792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7.16
2791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17.07.17
2790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시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0.07.20
2789 여름 휴가철 국립공원 내 물놀이 '해루질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1.07.15
2788 여름 집중호우 시기, 식중독 발생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20
2787 여름 산행 한낮 더위는 피해서 쉬엄쉬엄 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6.07
2786 여름 불청객, 벌 쏘임 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9.08.19
2785 여름 같은 봄 날씨,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5.11
2784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4.16
2783 여드름 관련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25
2782 엠폭스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백신 2회 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8.08
2781 엠폭스 예방 접종 및 행동주의로 엠폭스 위험을 줄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7.03
2780 엘지전자 온라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1.22
2779 엘레니어 윙스플러스 유모차,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43 2016.12.07
2778 엔픽스(유) 보행기 완구 부품, 곰팡이 발생 가능성 있어 교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8.23
2777 엔젤케어베이비(Angelcare Baby) 유아용 목욕의자, 익사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0.05.21
2776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OLIOSEOTIL 식이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2.04.29
2775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Indomie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2.03.07
2774 에틸렌옥사이드가 허용치 초과 검출된 Flordis 의약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2.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